중국 시진핑 주석이 3연임을 확정하며 장기집권의 길을 연 가운데 한중관계는 앞길이 보이지 않는 안갯속으로 들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시진핑 3기의 중국은 경제회복과 미국과의 갈등, 타이완 문제 등 풀어야 할 숙제가 많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부 취재 기자 연결하겠습니다. 김태현 기자! <br /> <br />지금도 순탄하지 않은 한중관계, 더욱 악화할 가능성이 있는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의 연례 정치행사인 전국인민대표대회, 전인대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이 확정된 어제 한중관계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조치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이 자국민의 해외 단체여행 허용 국가를 40개국이나 추가했지만 이번에도 한국은 쏙 빠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구 반대편의 중남미까지 포함하면서 거리가 매우 가까운 한국을 뺀 것은 불편한 한중관계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우선 중국은 한국의 외교정책에 불만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한미동맹과 한미일 공조가 더욱 강화되고 있고, 특히 중국을 견제하는 미국의 전략적 움직임에 한국이 함께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박진 외교부 장관이 최근 무력에 의한 타이완해협 현상 변경에 반대한다고 말하자 중국 외교부가 거친 표현으로 반박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·일본·호주·인도의 안보 협의체인 '쿼드' 실무그룹 참여 움직임에 대해서도 제동을 걸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에 북한과는 협력과 교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시진핑 주석의 3연임이 확정되자 곧바로 김정은 국무위원장 명의로 축전을 보내 북중 혈맹관계를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최소한 15년의 장기집권 체제가 가동됐지만 시진핑 3기의 중국 앞에는 난제가 쌓여있습니다. <br /> <br />어떤 숙제가 시급할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홍콩 유력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(SCMP)는 "3연임에 성공한 시진핑 주석 앞에는 거센 풍랑이 놓여있다"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당장은 경제회복에 주력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내수 진작과 경제 활성화를 통해 지난해 3%에 그친 성장률을 올해 최소 5%대로 끌어올리는 노력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알프레드 우 싱가포르국립대 교수는 경제를 되살리고, 미중 관계 악화 속에 기술 자립의 길을 닦고, 안보를 강화하는 것을 우선 과제로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AFP 통신은 "경제 둔화가 시 주석의 향후 5년을 지배할 것이지만, 중국 최고 지도부가 충성파로 꾸려지면서 경제보다 이념이 중시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"고 지적했습니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태현 (kimt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31110050134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