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동의 앙숙 이란-사우디, 7년 만에 관계 정상화 <br />중국 정치행사 ’양회’ 열리는 베이징에서 합의 <br />양국 성명 "이라크·오만과 중국에 감사 표시" <br />미국 "이란 합의 사항 이행할지 두고 봐야"<br /><br /> <br />중동의 오랜 앙숙인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가 7년 만에 외교관계 정상화에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두 나라는 이번 회담을 중재한 중국에 감사를 표시했는데, 미국은 '중국 역할론'을 평가절하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태현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가 관계를 정상화하고 두 달 안에 서로 대사관을 다시 열기로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6년 사우디가 이란의 반대에도 시아파 성직자의 사형을 집행한 사건을 계기로 외교관계가 단절된 지 7년 만입니다. <br /> <br />[알리 샴카니 / 이란 최고국가안보회의 의장 : 우리는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가 지난 7년간의 외교관계 단절을 회복하는 데 합의했습니다.] <br /> <br />두 나라는 상호 주권 존중과 내정 불간섭 원칙에 따라, (2001년 체결된) 과거의 안보협력협정과 무역, 투자에 대한 합의도 활성화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각각 이슬람 시아파와 수니파의 종주국으로 오랜 앙숙인 이란과 사우디는 단교 이후 예멘과 시리아 내전 등에서 서로 반대 진영을 지원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날 합의는 중국의 정치행사인 양회가 열리고 있는 베이징에서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두 나라는 성명을 통해 앞선 회담을 주선했던 이라크와 오만은 물론 이번 회담을 중재한 중국에 사의를 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미국은 이 지역에서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지지한다면서도 중국 역할론에 대해서는 평가절하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란이 사우디와의 협상에 나온 것은 대내외적인 압력 때문이지 중국의 중재 때문이 아니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특히 이란이 합의를 이행할지 "두고 봐야 한다"며 이란은 자기 말을 지키는 정권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태현 (kimt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31121324250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