출산율 비상에…전국 곳곳서 '파격 지원책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달, 우리나라 합계 출산율이 또 한 번 최저치를 경신했다는 발표가 나온 뒤 일선 지자체들 움직임도 분주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서울시는 난임비용 지원을 파격적으로 확대키로 했고, 출산장려금을 대폭 상향하는 지역도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준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우리나라 출산율은 또 한 번 충격적인 수치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전체 합계출산율이 0.78명으로, 또다시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고, OECD 회원국 가운데 꼴찌였습니다.<br /><br />'출산율 충격'에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전국 지자체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전국 17개 시도 중 출산율 최하위를 차지한 서울시는 소득이나 시술별 횟수를 따지지 않고 모든 난임 부부에게 인공수정 및 시험관 시술 비용을 지원하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 "(맞벌이 부부 경우) 기준중위소득 180% 이하의 조건을 충족하기 어려워 소득기준을 폐지해달라는 많은 요청이 있었고요…세 가지 난임시술에 각각 (지원 제한) 칸막이가 있어서 그 칸막이를 폐지해달라는 요청이 있었습니다."<br /><br />아이를 낳을 때마다 지원금을 주는, 출산장려금 제도를 확대하는 지자체도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충남 아산시와 부산시 북구 등은 셋째 아이 출산장려금으로 1,000만 원을 지원하고, 전남 진도군은 셋째 아이 장려금으로 2천만원을 책정했습니다.<br /><br /> "출산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는, 사실은 이게 경제적으로 큰 도움이 되잖아요, 우리처럼 저출산이 심화되는 과정에서…장려금 때문에 갑자기 바뀐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, 저출산을 완화하거나 현행을 유지시킬 가능성은 농후하다고 판단되거든요"<br /><br />다만, 일각에선 지방재정을 고려할 때 이 같은 현금성 지원정책이 지속가능하지 않다며 주거와 일자리, 교육 문제 등을 아우르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준삼입니다. (jslee@yna.co.kr)<br /><br />#출산율 #인구절벽 #난임부부 #출산장려금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