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과열됐던 SM엔터테인먼트 인수전이 마무리됐습니다. <br> <br>경영권은 카카오가 가지고 하이브는 플랫폼 협력을 하기로 합의했습니다. <br> <br>양쪽 모두 '승자의 저주'를 우려한 걸로 보입니다. <br><br>김태욱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하이브가 오늘 SM엔터테인먼트 인수 절차를 중단하기로 카카오와 합의했습니다. <br> <br>시장이 과열되면서 하이브의 주주가치에도 부정적이라고 판단한 겁니다. <br><br>SM 주가는 하이브와 카카오의 지분확보 싸움이 치열해지면서 무섭게 올랐습니다. <br> <br>SM을 인수하더라도 엄청난 자금 출혈이 예상됐습니다. <br> <br>결국 '승자의 저주' 앞에서 한 달간 이어진 인수전이 극적인 협상으로 마무리됐습니다. <br> <br>카카오는 SM 경영권을 갖게 됐습니다. <br><br>SM이 쌓아온 가수들의 명성과 콘텐츠를 확보한 겁니다. <br> <br>기존에 갖고 있던 음악채널이나 웹툰 등 다양한 연예 콘텐츠 채널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됐습니다. <br> <br>SM의 현 경영진이 카카오와 협력을 원했던 것도 이런 이유였습니다. <br> <br>[SM 엔터테인먼트] <br>"카카오가 이미 구축하고 있는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SM의 사업적 커버리지가 강화될 것입니다." <br> <br>카카오는 영화, 드라마 쪽에도 공을 들이고 있어 업계에서는 한국판 디즈니가 생길 수도 있다는 예측도 나옵니다. <br> <br>경영권을 포기한 하이브는 카카오와 협력관계를 맺었습니다. <br><br>하이브는 그동안 네이버와 협력해 콘텐츠 사업을 벌여왔습니다. <br> <br>아직 구체적인 내용은 발표되지 않았지만 하이브가 카카오가 보유한 채널까지 활용해 콘텐츠 사업을 확장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[위정현 / 중앙대 경영학과 교수] <br>"서로가 한발 물러서면서 원만하게 타협이 됐다라고 생각하고요. K팝이라든지 한류가 한 단계 더 글로벌 시장에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중요한 동맹체가 구성됐다는 점에서 (의미가 있습니다.)" <br> <br>카카오는 예정대로 26일 공개매수를 진행해 추가 지분 확보에 나섭니다. <br><br>증권가에서는 양쪽이 합의한 만큼 SM 주가가 공개매수가를 넘기는 힘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태욱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 : 형새봄<br /><br /><br />김태욱 기자 wook2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