실리콘밸리은행·시그니처은행 美 ’역대급’ 파산 <br />금리 인상→국채 자산 가치 하락→ 금융시장 요동 <br />각국, 스타트업 연쇄 도산 방지 긴급 조치 단행 <br />’백기사’ HSBC, ’SVB 영국법인’ 1파운드에 인수<br /><br /> <br />바이든 행정부는 이번 실리콘밸리은행 등의 파산 사태가 2008년 세계 금융위기 같은 위기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긴급 진화에 나섰는데요. <br /> <br />미국의 지역은행과 각국이 파산의 불똥이 튈까 노심초사하는 가운데 영국계 은행인 HSBC는 파산이 예고된 실리콘밸리은행 영국법인을 단돈 1파운드에 인수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상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실리콘밸리은행(SVB)과 시그니처은행의 파산 규모는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당시 워싱턴 뮤추얼 은행 파산에 이어 미국 은행 역사상 각각 2위, 3위에 해당할 정도로 역대급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 스타트업계는 역대급 파산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'예금 100% 보증' 발표로 줄도산은 일단 피할 수 있게 돼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금리 인상으로 자산 건전성이 악화한 밴처캐피탈 고객이 많은 퍼스트 리퍼블릭 등과 같은 중소 지역 은행들에게로 뱅크런 즉 고객들의 대량인출 사태가 전염될 수 있다는 불안감은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이들 은행은 뱅크런이 우려되자 연준 등으로부터 수백억 달러의 자금을 긴급 조달해 유동성을 확보했다고 밝혔으나 위기설이 퍼지면서 주식 거래가 중지되는 등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잠재우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제라드 코미지오 / 아메리카 대학교 교수 : (실리콘밸리은행과)자산규모가 같거나 작은 지방은행에서 보장받지 못하는 예금이 인출돼 대형 시중은행으로 이전될 우려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미국서 16번째로 자산규모가 큰 실리콘밸리은행 등이 파산해 금융 시장을 흔드는 것은 미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이들 은행이 장기투자한 국채 자산 가치의 하락 탓이 크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이로 인해 연준이 금리 인상 행보를 어떻게 할지 숙고에 들어간 가운데 실리콘밸리은행이 진출한 영국 등 각국에서도 뱅크런으로 인한 스타트업 등의 연쇄 도산을 막기 위한 긴급 조치가 잇따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영국계 글로벌 은행인 HSBC는 파산 예정이던 실리콘밸리은행(SVB) 영국법인을 상징적 금액인 1파운드(1천57원)에 인수해 유동성 해소의 백기사로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[토비 매더 / 스타트업 링구미 설립자 : 만약 (HSBC) 그들이 개입하지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상우 (kimsang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31406282625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