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 TOP10 (17시 20분~19시)<br>■ 방송일 : 2023년 3월 14일 (화요일)<br>■ 진행 : 김종석 앵커<br>■ 출연 : 김지진 변호사, 서용주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,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, 최병묵 정치평론가<br><br>[김종석 앵커]<br>저희가 과거 영상을 준비한 이유, 오늘 조응천 의원이 이런 이야기를 했습니다. 지금까지 선배 당 대표들은 당이 위기에 처했을 때 당을 먼저 생각하는 정치로 다 자신을 먼저 버렸다. 그것은 문재인 전 대통령도, 송영길 전 대표도 그랬다. 왜 과거 당 대표들과 다르냐. 이렇게 이야기를 조금 한 것 같아요?<br><br>[김지진 변호사]<br>네. 이재명 대표 이제 책임론, 그것에 대한 근거로서 과거 사례를 조금 언급한 것 같아요. 과거 이제 문재인 전 대표도 당원들 탈당이 계속되면서 당을 지키기 위해서 대표직을 내려놓은 바 있고 송영길 당시 대표도 대선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난 바 있으니까 이런 이제 이 대표도 당을 위해서 희생하는 모습을 보여 달라. 이런 것 같고. 그래서 또 조금 조응천 의원의 발언 가운데 제가 주목한 부분은 공천, ‘개딸’, 그 지지층, 강성 지지층한테 잘 보이면 공천 받는 데에는 유리할 것이다. 그런데 그게 다가 아니다. 이제 이런 이야기를 했단 말이에요. 그럼 결국에는 핵심은 지금 이제 이재명 대표 책임론을 이야기하지만, 결국 내년 총선을 보고 가는 겁니다.<br><br>결국에는 총선의 어떤 키워드라는 것은 중도층을 잡는 것이거든요. 지금 국민의힘이나 민주당이나 약 30% 정도의 강성 지지층이 있는 것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이고, 나머지 이제 20~30%를 잡는 쪽이 결국에는 총선에서 승리를 할 텐데, 조응천 의원의 이야기는, 그럼 결국에는 계속해서 이재명 대표 체제로 갔을 때 중도층의 지지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냐. 그게 조금 어렵지 않을까. 이런 주장을 하는 것 같고, 그것을 뒷받침할 근거로서 이재명 대표의 책임론과 과거 사례들을 언급하는 것 같아요. 고민정 의원도 마찬가지이고. 그런데 저는 이 부분에서 또 한 편 이런 생각이 드는 게, 국민의힘이 조금 이 부분을 보고 긴장해야 되지 않나 싶어요. 최소한 지금 총선에서 어떤 게 승부처다. 최소한 중도층을 잡아야 단순히 극렬 지지층만 가지고서는 성공할 수 없다.<br><br>이 부분에 대한 인식은 지금 민주당이 확실하게 하고 있는 것이거든요. 그런 면에 있어서는 사실 이런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어떤 중도층 포용의 어떤 스탠스를 가진다. 이런 것 자체는 굉장히 총선을 대비하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어요. 그러면 지금 이제 국민의힘도 지도부가 구성이 되었는데, 국민의힘도 마찬가지입니다. 결국에는 강성 지지층이 있는 것이고 나머지 이제 중도층 20~30%를 잡아야 되는데 이 20~30%를 어떻게 잡을 것이냐. 더군다나 지금 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중도층에서는 오히려 조금 현 정권에 대한 부정적인 기류가 많다. 계속 이런 여론조사들이 계속되고 있거든요. 그래서 이런 부분을 조금 타개할 만한 어떤 대비책이 있는지 이런 것에 대해서 지금부터 고민해야 될 시점이 아닌가. 저는 그렇게 조금 생각합니다.<br>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김희진 인턴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