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시다·일본기업 호응이 방일 성적 관건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(윤석열 대통령의) 이번 일본 방문 최대 관건은 반발 여론 속에서 발표한 강제징용 해법에 일본 측이 얼마나 호응할지입니다.<br /><br />일본 측의 유의미한 반응을 끌어내는 게 윤 대통령의 첫 방일 성적을 좌우할 걸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성승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우리 정부의 강제징용 해법엔 일본 피고 기업의 피해자 배상이 빠져있습니다.<br /><br />선제적으로 양보한 대신, 이른바 '미래청년기금' 조성에 피고 기업이 동참하고, 일본 정부가 과거사 사죄 입장을 재확인하길 우리 정부는 바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기시다 총리가 '김대중-오부치 선언' 등 역대 내각의 담화를 계승한다 밝혔지만, '사죄'나 '반성' 같은 말은 하지 않아 피상적이란 비판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때문에, 과거사에 대해 어느 정도 진심 어린 발언을 할지, 또 그런 발언을 끌어낼 수 있을지가 첫 관건입니다.<br /><br />일본언론들은 기시다 총리의 새로운 사과는 없을 거라 전했는데, 과거보단 미래에 방점이 찍힌 두 정상의 새로운 선언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'직접 배상' 압박을 벗어난 일본 피고기업이 어떤 식으로 호응할지도 변수입니다.<br /><br />방일 이틀 차 전국경제인연합과 일본 게이단렌이 발표하는 '미래청년기금'에 피고기업들이 동참할 거란 관측이 많지만, 공식적인 참여 의사는 아직입니다.<br /><br />게이단렌 회원의 하나로서 기금에 간접 참여할지, 아니면 더 적극적 기여를 선언할지가 방일 성과에 직결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징용 배상 판결에 반발해 일본이 취한 수출규제와 화이트리스트 제외 조치, 또 우리 측의 세계무역기구 WTO 제소를 함께 푸는 방안도 회담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우리가 종료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, 지소미아도 북한에 맞선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 차원에서 공식 복원이 유력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성승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