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전 세계적 금융 공포가 가라앉지 않고 있는 가운데, 지난해 우리 5대 시중은행의 퇴직금 실태가 공개됐습니다.<br> <br> 1인당 5억 원이 넘었습니다. <br> <br> 금융당국에선 경고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미리 자본을 쌓아둬서 위기 대응 능력을 강화하라는 겁니다.<br> <br>정현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금융당국은 지난해 5대 시중은행이 임직원들에게 성과급으로 약 2조 원, 퇴직금으로 약 1조 5천억 원을 지급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순이익 약 12조 7천억 원의 27.4%에 해당합니다.<br> <br>한 사람당 희망퇴직금은 5억 4천만 원. <br> <br>1년 전보다 3천만 원 늘었는데 최대 3년 치 기본급에 학자금, 의료비까지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성과급은 한 사람당 평균 3천만 원을 챙긴 것으로 추산됩니다. <br> <br>은행들이 이자장사로 번 사상 최대 이익으로 돈 잔치를 벌인 겁니다. <br> <br>이에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보수 체계를 개선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성과급 체계를 투명하게 공시하고 성과급을 산정할 땐 장기 성과까지 평가한 뒤 여러 해에 걸쳐 주식 등 다양한 수단으로 나눠주는 방안을 논의 중입니다.<br> <br>퇴직금 규모는 주주총회에서 평가받도록 하는 등 6월 말까지 개선안을 만들 계획입니다. <br> <br>[성태윤 /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] <br>"지나치게 높은 이윤을 획득하거나 이에 따른 보상 체계에 대한 관리 감독은 일정 부분 필요하고요. 다만 지나치게 기업들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형태가 돼서는 곤란할 것으로 생각됩니다." <br><br>한편 금융당국은 실리콘밸리은행 파산에서 시작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자 은행권의 손실 흡수 능력을 강화하는 방안도 마련합니다. <br> <br>코로나 시기 급격히 불어난 대출이 부실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은행들이 2, 3분기 중 추가 자본을 쌓도록 의무화하고 외부 충격에 취약한 은행들에는 자본을 더 쌓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현우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구혜정<br /><br /><br />정현우 기자 edg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