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본은 이번 한일 정상회담이 양국 관계 정상화의 큰 진전이라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는 5월 히로시마 G7 정상회담에 윤 대통령을 초청할 가능성도 커 보이는데요, <br /> <br />하지만 일본 언론들은 한일 간 남은 현안 해결을 위해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세호 도쿄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본 정부는 이번 한일 정상회담이 양국 관계 정상화의 큰 걸음이라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한국 대통령이 12년 만에 일본을 방문해 한일 정상 간 신뢰를 돈독히 하고, <br /> <br />한일 관계의 새 장을 여는 셔틀 외교 재개에 뜻을 모았다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. <br /> <br />[마쓰노 히로카즈 / 일본 관방장관 ; 이번 윤석열 대통령의 방일, 그리고 한일 정상회담은 한일 관계 정상화에 있어서 큰 한 걸음으로 받아 들입니다.] <br /> <br />기시다 총리는 오는 5월 히로시마 G7 정상회의에 윤석열 대통령을 초청할 의사도 밝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주요 일간지들은 '한일 정상화 일치' '한일관계 개선' 등의 제목으로 1면을 장식하며, 주요 성과를 자세히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한국의 화이트 리스트 복귀,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, 사도 광산 문제 등 남은 현안이 가볍지 않다는 점도 함께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 일본은 수출 절차 간소화 혜택을 주는 백색 국가, 화이트 리스트 원상회복 여부는 한국 측 대응을 지켜보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니시무라 야스토시 / 일본 경제산업상 : 이번에 한국의 카테고리를 어떻게 다룰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한국의 대응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우리 정부의 강제 동원해법 이행 여부를 더 지켜보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일한 의원연맹은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를 기준치 이하 농도로 희석해 해양방류하는 계획에 대해 윤 대통령에게 이해를 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이 세계 문화유산 등록 추진을 강행하는 사도 광산도 강제 동원에 대한 일본의 인식이 그대로 드러나는 행동입니다. <br /> <br />한일 정상회담으로 한일 관계의 개선의 물꼬는 트였지만 남은 현안들도 파급력이 큰 민감한 사안이어서 양국 간 입장 차를 줄이기까지는 만만찮은 험로가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YTN 김세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세호 (se-3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31719020552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