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리 학생들 책상 위에서 종이책이 사라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 얇은 태블릿 PC가 두꺼운 교과서와 전공책을 대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종이 책을 뜯어먹으면서 공부했다는 독종들의 일화는 이제 정말 전설이 됐습니다. <br> <br>김태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책상마다 노트북이 켜져 있고 학생들이 필기 대신 키보드를 두드립니다. <br> <br>과학실 이동 수업 때도 챙기는 건 교과서가 아닌 노트북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이거까지 마무리 지어서 여러분들 제출하기 버튼 있죠? (네.)" <br> <br>이 학교는 학생 전원에게 교육용 노트북 1대씩을 지급하고 수업의 80%가량을 교과서나 공책 없이 디지털로 진행합니다. <br> <br>[백소율 / 내곡중 3학년] <br>"(종이 교과서는) 교과서에 있는 글만 읽어주게 되고 교과서에 있는 활동만 한정적으로 할 수밖에 없다 보니까…" <br><br>[정준서 / 내곡중 3학년] <br>"디지털로 하다 보니까 집에서도 편하게 (과제) 편집을 할 수도 있고…" <br><br>교육부는 노트북 지원을 확대하고 2028년 이후 초중고교 교과서를 디지털로 전면 전환하는 걸 검토 중입니다.<br><br>두꺼운 전공 서적을 품에 안고 다니는 대학 캠퍼스의 모습도 달라졌습니다. <br> <br>절반 넘는 수강생이 종이 책 대신 노트북이나 태블릿 PC로 필기합니다. <br> <br>전공 서적은 PDF 파일로 내려받고, 과제 제출도 온라인으로 바뀐 지 오래입니다. <br> <br>[신관우 / 서강대 화학과 교수] <br>"코로나 상태에서 비대면 중심으로 진행하는 강의의 시스템이 갖춰지면서 과제를 평가하는 과정에서도 모두 다 온라인으로…"<br> <br>[김대우 / 서강대 화학과 2학년] <br>"예전에는 전공 책을 살 때 한 학기에 한 네 다섯 개 정도 샀는데, 요즘은 다 PDF를 보니까 하나도 안 사는 경우가 많고…" <br><br>책장을 넘기고, 펜으로 꾹꾹 눌러 필기하고, 몸보다 큰 가방을 들고다니던 모습도 추억이 되어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태우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이승훈 <br>영상편집 : 강민<br /><br /><br />김태우 기자 burnki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