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실리콘밸리뱅크 사태에서 촉발된 은행 위기설로 금융시장은 지난주 내내 출렁였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기준금리 결정을 앞두고, 이번 주에도 혼돈이 이어질 거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주말 사이 갑작스레 파산한 실리콘밸리뱅크 소식에 우리 주식시장은 개장 전부터 '블랙먼데이' 공포에 휩싸였습니다. <br /> <br />예상을 깨고 치솟은 건 미국 연준이 더는 금리를 올리지 못할 거란 기대감 때문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정부가 전액 보호를 약속하며 사태가 진정되자 기대는 다시 불안으로 이어졌고, 예상에 부합한 미국 물가 상승률에 잠깐 웃는가 싶더니, <br /> <br />때마침 불거진 크레디트스위스 위기설에 또 한 번 출렁였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사태의 진원인 은행주는 직격탄을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위험 회피 심리와 긴축 종료 기대가 뒤섞여 환율도 널을 뛰었습니다. <br /> <br />[홍기빈 / 글로벌 정치경제연구소장 : 금리 인상하고 그다음에 국채 가격이라든가 자산 가격의 지속적인 하락이 계속 벌어진다면 전 세계 어느 은행이든 안전할 수가 없기 때문에 (은행 시스템이라는 것 전체, 개별 몇 개 은행이 아니라) 은행 시스템이라는 것 자체에 대한 회의가 팽배하는 게 아니냐.] <br /> <br />갈피를 못 잡는 상황은 이번 주에도 이어질 거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오는 22일 미국 중앙은행이 긴축에 마침표를 찍을 수밖에 없을 거란 기대가 커진 건 상승 요인입니다. <br /> <br />[이경민 / 대신증권 연구위원 : 중앙은행이 대책이든 정책이 나왔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건 FOMC 결과가 시장의 방향을 결정짓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반면 유럽 중앙은행처럼 여전히 강한 긴축 기조를 유지할 경우 금융 위기가 현실화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지며 뉴욕 증시는 폭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미국발 뱅크런 위기의 여파가 앞으로 두세 달 동안은 우리 시장을 쥐락펴락할 거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[황세운 /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: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유출에도 충분히 영향을 줄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당분간 단기적인 변동성 증가는 불가피하다고 봐야 할 것 같고요.] <br /> <br />확산을 막기 위한 각국 정부의 발 빠른 대처가 이어지고 있지만, 금융 위기 재현 우려가 쉽사리 가시지 않으면서 시장의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지선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지선 (sun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31901241027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