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꿈의 배터리' 상용화 가시화…K-배터리 점유율 높인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은 가성비의 리튬인산철, LFP 배터리를 앞세워 점유율을 늘려나가고 있죠.<br /><br />이에 한국의 배터리 3사는 '꿈의 배터리'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속도를 내는 동시에 LFP배터리로의 영역 확대도 준비중입니다.<br /><br />김장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삼성 SDI가 공개한 전고체 배터리 모형입니다.<br /><br />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수명은 길고 안전성까지 담보해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데, 업계에선 향후 배터리 시장을 좌우할 게임체인저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삼성SDI는 올해 하반기 시제품 샘플 제작을 시작으로 2027년 전고체 황화물계 배터리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업계 최초로 전고체 (배터리) 파일럿 라인을 착공해서 올해 완공하고 시제품 생산 및 (여러 테스트를) 통해서 전고체 (배터리) 기술 활성화와 (상용화를 위해) 노력하겠습니다."<br /><br />SK온은 빠른 충전 속도가 장점인 각형 배터리를 앞세웠는데, 시제품 개발은 완료했고 올해 안에 시제품 생산에 돌입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전기차 대중화를 이끌고 있는 리튬인산철,LFP 배터리 시제품도 함께 공개됐고, 전고체 배터리 역시 2028년 양산이 목표입니다.<br /><br /> "글로벌 완성차 업계들이 (다양한 배터리 폼팩터에 대한) 니즈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각형을 신규로 준비하면서 고객사들의 니즈에 더 부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LG에너지솔루션은 LFP 배터리를 활용한 에너지저장장치, ESS 시제품을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 "(ESS형 LFP 배터리를) 국내에서 최초로 전시를 하면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. (차세대 전지 중 하나인 전고체) 고분자계 배터리는 2026년까지 황화물계는 2030년까지 상용화 목표입니다."<br /><br />지난해 세계 배터리 시장 점유율 1위는 39.8%의 중국 CATL이었는데 K배터리 3사의 점유율을 합친 것보다 높았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자체 소비와 글로벌 중저가 전기차 시장의 확대 영향인데, K배터리가 전고체배터리 개발과 LFP배터리로의 영역 확대로 반격을 준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.<br /><br />#배터리 #LFP #전고체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