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업계 탄소 감축량 축소…원전·탄소 기술로 감당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가 2030년까지 제시한 탄소 배출 감축 목표는 2018년 대비 40%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정부가 이 중 산업부문 탄소 감축 목표치를 줄이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산업계의 반발 탓인데요.<br /><br />대신, 원전, 신재생 에너지 추가 확충과 탄소 포집기술 개발로 에너지부문 감축량은 더 늘리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김장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금처럼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면 2100년엔 한반도 해수면이 82cm 상승해 부산 해운대 등 일부 남해안, 서해안이 바다에 잠기게 됩니다.<br /><br />이를 막기 위해 정부가 2030년까지 줄이기로 한 탄소 배출량은 2018년 대비 40%입니다.<br /><br /> "도전적인 목표지만 파리기후변화협정의 정신을 존중하고, 다음 세대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보장하는 동시에 우리 경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…."<br /><br />문제는 목표도 도전적이지만 이 과정에서 기업 부담이 크다는 점인데, 재계는 제조업 비중이 큰 현실상 2030년까지 감축 가능량은 5%라며 반발해왔습니다.<br /><br />그러자 정부가 산업부문 탄소 감축 목표치를 11.4%로, 재작년 문재인 정부의 목표치보다 3.1%p 낮추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대신 에너지분야 감축량 확대와 기술 개발로 산업부문 감축량을 감당합니다.<br /><br />2030년 원전 비중은 32.4%로 늘리고 신재생에너지도 기존 21.6%에서 더 올릴 계획입니다.<br /><br />또, 현재 미국의 80%인 탄소 포집·저장 기술 수준을 90%선으로 끌어올리고 개발도상국의 탄소 배출 감축사업에 참여해 탄소 감축으로 인정받는 사업도 확대합니다.<br /><br />이를 위해 올해부터 5년간 탄소중립 기술 개발과 그린 리모델링, 전기·수소차 지원 등에 재정 90조원이 투입됩니다.<br /><br />다만, 탄소 포집·저장기술이 아직 상용화했다고 보기 어렵고 해외 감축 사업 인정도 상대방이 있는 만큼,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은 한계일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위원회는 정부안에 대해 의견을 수렴한 뒤, 다음 달 구체적 이행계획을 확정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.<br /><br />#탄소감축 #2030년 #원전 #신재생에너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