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글로벌 은행들 줄도산 소식이 이어지고 있는데요. <br><br>그럴 때마다 예금자들 맡긴 돈 찾으려는 뱅크런이 벌어지고 있죠. <br> <br>여야가 예금자 보호 한도를 현행 5천 만원에서 1억 원으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여야가 모처럼 공감대를 이뤄 논의가 급물살을 탈 전망입니다. <br> <br>유주은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국민의힘이 23년째 5천만 원으로 묶인 예금자 보호 한도가 부족하다며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[성일종 / 국민의힘 정책위의장] <br>"금융위기에 대비해 보호 한도 확대가 필요합니다. 예금보험공사를 비롯하여 금융당국은 구체적인 개선안을 내놓는데 속도를 내주시기 바랍니다.” <br><br>미국 등 다른 선진국에 비해 보호 한도가 낮은데다, 미국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사태로 국민 불안감이 커졌다는 이유에서입니다. <br><br>앞서 주호영 원내대표는 금융업종별로 구분하되 보험금 지급 한도를 최소 1억 원 이상 범위에서 정하도록 하는 개정안도 내놨습니다.<br> <br>민주당도 예금자 보호 한도를1억 원으로 늘리는 법안을 준비 중입니다.<br><br>[김성환 /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] <br>"예금자 보호도 현행 5천만 원까지인데 그것을 1억까지 늘리고, 미국처럼 전체 예금자를 보호할 수 있는 그런 예금자 보호 정책도 곧 입법발의해서 추진할 수 있도록…" <br> <br>또 대출이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원금 전체가 아닌 연체된 대출금에 한해서만 연체 이자를 붙이는 법 개정도 추진합니다. <br> <br>금융당국은 오는 8월 예금보호 제도 전반에 대한 개선책을 내놓을 예정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예금보호 한도를 올릴 경우 금융기관의 예금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해져 결국 대출 금리 인상과 같은 형태로 소비자 부담이 될거란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주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기태 이 철 <br>영상편집 : 김민정<br /><br /><br />유주은 기자 grac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