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현금 없는 사회' 성큼…고령층 소외는 숙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요새 '현금 없는 버스'까지 등장할 정도로 현금 안 받는 곳들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카드에, 간편결제까지 일상화하면서 현금 쓸 일이 많이 줄어든 탓인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아직 현금이 익숙한 고령층에겐 또 다른 소외를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이은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요즘 젊은 세대는 혹여나 집에 지갑을 두고 나와도 불편함을 느낄 일이 거의 없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 "아무래도 핸드폰으로 바로 (돈을) 쓸 수 있으니까 현금은 안 챙기게 되고, 카드 지갑만 들고 다니고 중요한 카드만 넣어 다닙니다."<br /><br />지폐를 지갑에 두둑이 채워 다니는 게 익숙한 세대는 현금을 받지 않는다고 하면 종종 당혹스러울 때가 많습니다.<br /><br /> "고령자들은 옛날부터 현찰이야. 나부터도 카드보다도 현금을 선호해. 여기다가 돈을 채워가지고 다녀…."<br /><br />최근 '현금 없는 버스'가 등장한 건 물론, 프랜차이즈 음식점과 커피 전문점을 중심으로 현금을 받지 않는 매장이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카드 사용이 보편화하고, 웬만한 곳에선 간편결제도 다 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연간 카드 승인액은 사상 처음 1,000조원을 넘었습니다.<br /><br />승인 건수도 256억9,000만건으로 1년 전보다 9.9% 증가할 정도로 카드 이용이 늘어난 겁니다.<br /><br />반면, 재작년 기준 한 달간 70대 이상의 현금 이용률은 98.8%에 달했습니다.<br /><br />신용카드 이용률은 되레 57.3%로 낮아졌고 모바일 카드 이용률은 1.3%에 불과했습니다.<br /><br />현금 없는 사회에서 고령층이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구조인 겁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한국은행은 경제의 디지털화와 현금 이용 감소 추세를 감안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, CBDC 연구를 확대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다가올 현금 없는 사회에서 소외되는 계층이 없도록 보완책도 함께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. (ask@yna.co.kr)<br /><br />#간편결제 #현금 #CBDC #고령층 #신용카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