마무리 된 '공항 면세점 전쟁'…'승자의 저주' 가능성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10년 사업권이 걸린 인천공항 면세점 입점 후보가 결정됐습니다.<br /><br />면세점 매출액 세계 1위와 국내 1위 업체가 나란히 떨어지면서 의외의 결과라는 평가도 있는데요.<br /><br />경쟁이 치열했던 만큼, 이른바 '승자의 저주'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이승국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근 여행 수요 증가와 맞물려 '입찰 대전'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사업권 입찰 결과 신라와 신세계, 현대백화점 면세점이 구역별 복수 사업자로 선정됐습니다.<br /><br />당락을 가른 건 입찰 가격입니다.<br /><br />세계 면세점 매출액 1위 중국 국영면세점그룹, CDFG와 2위 롯데는 신라와 신세계보다 최대 20%가량 낮은 입찰가를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업계 안팎에서는 의외라는 반응이 많았는데, 바뀐 임대료 체계가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이번 입찰부터 기존 '고정 임대료' 대신 공항 여객 수에 사업자가 제안한 여객당 단가를 곱해 산정하는 '여객당 임대료' 방식이 적용됐는데, 이 때문에 업체별 셈법 차가 컸다는 겁니다.<br /><br />기존 데이터가 없는 상황에서 인천공항이 갖는 상징성과 향후 10년간의 사업 전망 등에 대한 평가가 달랐다는 해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중국이 사드로 인해서 단체 관광객 못 들어오게 하는 일도 있었고 또 최근에 코로나도 있었고, 이런 걸 겪어왔기 때문에 그런 상황에 대한 대처들은 어느 정도 생각하고 접근하지 않았을까, 이렇게 봅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여전히 일각에서는 이른바 '승자의 저주' 가능성을 거론합니다.<br /><br />앞서 2018년 롯데, 2006년에는 신라가 과도한 임대료 부담에 면세 사업권을 자진 반납했던 사례가 재연될 수도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오는 7월부터 10년간 인천공항 면세점 운영권을 보장받는 최종 사업자는 다음 달 관세청 심사를 거쳐 확정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승국입니다. (kook@yna.co.kr)<br /><br />#인천공항 #면세점_입찰 #승자의_저주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