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평화의 여정'이 될 거라고 했던 시진핑 주석의 러시아 방문, 막상 포장을 뜯어 보니, '중러밀착 ·반미연대'에 방점이 찍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1년 넘게 이어지는 우크라이나 전쟁도 출구를 찾지 못한 채 장기전에 접어들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'지각대장'으로 악명 높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, 이번엔 한발 먼저 나와 손님을 맞이합니다. <br /> <br />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장도 넥타이 색깔도 커플처럼 똑같이 맞췄습니다. <br /> <br />공식 환영 행사가 열린 곳은 크렘린 궁에서도 가장 크고 화려한 '성 게오르기' 홀, <br /> <br />지난해 9월 30일 푸틴이 우크라이나 점령지역 4곳의 합병 조약에 서명했던 장소입니다. <br /> <br />[시진핑 / 중국 국가주석 : 러시아 방문 초대에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. 중러 관계는 건강하고 안정적 방향으로 꾸준히 발전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'황제 의전'으로 중러 밀착을 과시한 반면, 평화 중재는 온데간데없이 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의 철군 언급 없이 휴전을 촉구한 건 우크라이나가 용납할 수 없는 조건입니다. <br /> <br />[존 커비 / 美 백악관 전략소통 조정관 : 지금 바로 휴전할 경우, 러시아 점령지역이 굳어지고, 푸틴에게 재정비할 시간과 공간을 주게 됩니다.] <br /> <br />중국으로 이어지는 시베리아 추가 가스관 건설 계획은 러시아에 장기전을 이어갈 자금줄이 되고, 중국은 타이완 침공 때 예상되는 서방제재에도 버틸 수 있는 에너지원을 확보한 셈입니다. <br /> <br />[블라디미르 푸틴 / 러시아 대통령 : 연간 500억㎥의 가스를 러시아로부터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2박 3일 국빈 방문 일정을 마친 시진핑 주석은 젤렌스키 대통령과 별다른 접촉 없이 귀국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이번 방문이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사면초가에 몰린 러시아에 활로를 열어준 꼴이 되면서 전쟁의 출구는 더 찾기 어려워졌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32223210284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