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은, 추가인상 압박 줄어…환율·물가 변수는 여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0.25%포인트만 올리면서 한국은행이 금리 정책 부담을 다소 덜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한미 금리차가 22년 만에 최대로 벌어진 데다 물가나 환율, 자금 유출 등 변수가 많아 연내 한 차례 더 인상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.<br /><br />김동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 연방준비제도는 기준금리를 0.25%포인트만 올리는 이른바 '베이비 스텝'을 택했습니다.<br /><br />고물가를 잡기 위해 작년 3월부터 공격적 금리 인상에 나선 결과, 실리콘밸리은행 등의 파산 사태가 터지며 금융 불안이 확산하자 통화 긴축 속도를 늦춘 겁니다.<br /><br />역전된 한미 금리 때문에 노심초사해왔던 정부와 한국은행도 부담을 조금은 던 셈입니다.<br /><br /> "(미 연준은) 지난 2월에 이어 통화 긴축 속도를 조절했습니다. 향후 금리 인상 경로와 관련해 기존의 '지속적 금리 인상' 문구를 삭제하고…"<br /><br />이에 따라 한은이 다음 달 11일에도 지난달과 마찬가지로 한 번 더 기준금리를 현 3.5%에서 동결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<br /><br />현실화하는 경기 둔화와 1년 반 넘게 이어온 금리 인상 행진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 가능성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다만 연내 한 차례 추가 인상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.<br /><br />이창용 총재가 여러 차례 "한미 금리차에 기계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"고 강조해왔지만, 한미 금리차가 1.5%포인트로 역대 최대로 벌어지면서 환율 상승과 자금 유출 압력이 커지는 것을 부인할 수 없는 탓입니다.<br /><br />환율이 뛸 경우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힘겹게 정점을 지난 물가에 기름을 부을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당장 한은의 통화정책 운영에는 다소 여유가 생겼지만, 안개가 걷혔다고 하기엔 아직 이르다는 얘기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. (dk1@yna.co.kr)<br /><br />#연준 #인상 #한국은행 #기준금리 #동결 #금리차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