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계 곳곳에서 가뭄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우리나라 남부지방도 50년 만의 가뭄이라고 할 정도로 물이 말랐습니다. <br /> <br />곳곳의 댐이 말라가면서 식수도, 농사도 걱정인데요. <br /> <br />현장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오선열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전남 화순 동복호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남부 지방 가뭄이 심각하다고 하는데, 현재 있는 곳이 저수지라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이곳은 광주 시민들에게 먹는 물을 공급하는 동복호 상류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부터 이어진 가뭄에 보시는 것처럼 풀만 무성하고, 30년 전에 수몰됐던 다리도 모습을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어젯밤부터 반가운 단비가 내리고 있지만, 강수량이 20mm 안팎에 그치면서 가뭄 해갈에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 동복호의 저수율은 18% 정도인데요. <br /> <br />총 저수량이 9,200만 톤인데, 2,000만 톤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지독한 겨울 가뭄에 지난해 12월 30%였던 저수율이 하루 평균 0.13%포인트씩 감소하면서 석 달 만에 20% 미만으로 떨어진 겁니다. <br /> <br />광주의 또 다른 식수원인 주암댐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은데요. <br /> <br />현재와 같은 가뭄이 계속될 경우 주암댐은 오늘 5월 하순, 동복댐은 6월에 고갈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저수율이 7% 이하로 떨어지면 제한급수 대상이 되기 때문에 광주광역시는 30년 만에 제한급수 위기에 직면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광주뿐만 아니라 전남도 상황이 심각할 것 같은데, 식수난을 이미 겪고 있는 곳도 있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전남 섬 지역은 이미 바짝 타들어 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남 완도 노화도와 보길도 등 5개 섬 지역은 지난해부터 제한급수가 이어지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여름 태풍 힌남노 이후 비다운 비가 내리지 않으면서 2일 급수 4일 단수 조치가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가뭄이 장기화하면서 이마저도 이번 달부터 2일 급수 6일 단수로 격상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보니 집집 마다 커다란 물탱크는 필수품이 됐고, 마실 물은 물론, 샤워와 빨래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섬 지역에 지하수 저류시설을 시범 운영해 물을 공급하면서 주민들의 숨통은 잠시 트였는데요. <br /> <br />가뭄이 길어지면 저류시설 마저 기능을 상실할 수도 있어 완전한 해결책이 되기도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남부지방 가뭄 발생 일수가 227일인데, 광주·전남 지역은 281일입니다. <br /> <br />50년 만의 최악의 가뭄을 겪... (중략)<br /><br />YTN 오선열 (ohsy5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32314171452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