확산세 소폭 반등…정부, 코로나 이후 대비 착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코로나 확진자 수가 소폭 늘었습니다.<br /><br />대중교통 마스크 해제로 인한 일시적 현상이라는 해석이 많은데요.<br /><br />유행은 여전히 안정적인 가운데, 방역 당국이 코로나 이후 감염병 대비에 착수했습니다.<br /><br />차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1만 1,400명으로, 한 주 전보다 1,470명 가량 늘었습니다.<br /><br />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이후 사흘째 지난주 대비 증가 추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으로 늘어나지 않고, 다시 감소세로 돌아설 것이란 전망이 우세합니다.<br /><br />확진자 증가와 함께 후행 지표도 조금씩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위중증 환자는 하루 새 2명 늘어난 133명, 사망자는 14명으로 5명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 대유행이란 긴 터널의 끝이 보이는 가운데, 방역당국은 다음 신종 감염병 대비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신종 감염병 발생 주기는 점점 줄어드는데 피해 규모는 커지면서, 코로나 안정화 시점에 접어든 지금부터 다음을 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진 겁니다.<br /><br /> "향후에 25년 이내에 코로나19보다 더 큰 팬데믹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어서…."<br /><br />감염병은 무엇보다 초기 대응이 중요한 만큼, 전문가들은 감염병 조기 감지를 위해 흩어져 있는 감시체계를 통합해야 한다는 데 입을 모았습니다.<br /><br />국제사회와의 협력 강화도 해외 감염병 정보를 신속히 수집하는 데 필요할 것으로 봤습니다.<br /><br />또, 코로나 사태를 교훈 삼아 방역 대응 인력과 중환자 병상을 사전에 마련하고, 백신과 치료제, 진단 키트 개발을 국가가 주도해 지원할 필요성도 제기됐습니다.<br /><br />질병관리청은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한 신종 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 계획을 오는 5월 초 발표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.<br /><br />#포스트_코로나 #신종_감염병 #질병관리청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