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주와 공주, 부여와 함께 4대 고도로 여겨지는 전북 익산에서 백제 후기 냉장고가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통기구를 설치하는 등 매우 과학적으로 만들어졌는데 어떻게 생겼는지 <br /> <br />이승은 기자가 소개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백제 후기 왕도인 익산에는 '서동 설화'로 유명한 7세기 무왕 설화가 많이 전해집니다. <br /> <br />설화 속 주인공 서동 탄생지로 전해지는 곳 바로 옆 땅속에서, 돌을 쌓아 만든 큰 저장고 2기가 발굴됐습니다. <br /> <br />고대 냉장고인 셈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길이 5m 정도 되는 긴 동쪽벽에 통기구 3개씩이 뚫린 게 눈에 띕니다. <br /> <br />안보다 바깥쪽을 약간 높게 비스듬히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찬 공기는 아래로, 더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는 성질을 이용해 더운 공기가 잘 빠져나가게 한 겁니다. <br /> <br />바닥엔 잡석과 모래 섞인 점토를 깔았습니다. <br /> <br />자연적으로 내부 온도를 서늘하게 유지하고 습기를 차단한 과학적 설계입니다. <br /> <br />[최완규 / 원광대 역사문화학부 명예교수 : 기존의 백제 왕도, 부여나 공주에서 발견된 저장고들은 거의 다 목곽시설이었어요. 거기에는 이와 같은 통기구가 갖춰지지 않았습니다. 따라서 한 단계 진화된 저온 저장고라고 말할 수 있죠.] <br /> <br />저장고가 만들어진 시기는 6~7세기 백제 후기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바닥에서는 그때 사람들이 먹은 과일과 농작물 흔적이 많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참외와 딸기, 다래, 포도 같은 과일 씨앗과 밀과 조, 팥 등의 곡식, 들깨 등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벼루와 그릇, 기와 등도 출토됐는데, 백제 왕궁터인 인근 왕궁리 유물과 비슷합니다. <br /> <br />또 공주와 부여에서도 저장고가 왕궁터에서만 나왔기 때문에 이 저장고 역시 왕실 시설이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공주, 부여에 이은 백제 왕도, 익산의 저장고는 고도로 발달한 백제 후기 문화를 보여주는 또 하나의 사례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은 (se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30324222155352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