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연봉 1억' 대기업 증가…'평균의 함정' 지적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을 넘는 대기업들이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실적도 좋았고, 임금 상승률도 높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인데요.<br /><br />단순 평균치이기 때문에 대다수의 일반 직원들이 받는 보수와는 괴리가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최덕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삼성전자의 평균 연봉은 1억3,500만원입니다.<br /><br />SK하이닉스는 1억3,385만원이었고, LG전자는 1억1,200만원으로 처음 1억원을 넘었습니다.<br /><br />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1억 500만원, 1억 1,200만원을 기록했고, 에쓰오일은 1억 7,107만원, GS칼텍스는 1억 5,397만원이었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평균 연봉 1억원이 넘는 기업이 2019년 8곳, 2020년 10곳, 2021년 21곳으로 늘고 있는 가운데 2억원 문턱을 넘은 기업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SK텔레콤에서 인적분할해 출범한 투자전문회사 SK스퀘어의 평균 연봉은 2억 1,400만원이었습니다.<br /><br />1인 평균 급여액이 6억2,000만원인 미등기임원 12명을 제외하고 계산해도 1억5,702만원에 달했습니다.<br /><br />LG그룹 지주사 (주)LG와 DL그룹 지주사 DL(주)의 평균 연봉은 각각 2억 100만원이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기저효과로 개선된 2021년 실적이 작년 보수에 반영된데다 임금상승률도 높아 급여 수준이 올랐다는 분석인데, 대다수 일반 직원들이 받는 금액과 괴리감이 크다는 지적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임원 등 소수의 고액연봉자들이 평균을 끌어올렸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임금 계층별로 직급별로 다 데이터를 뽑은 건 아니죠. 사업 보고서에 나온 거를 보고 하다 보니까. 평균의 함정 그런 부분도 있을 거라고 보여집니다."<br /><br />급여 총액에는 미등기 임원 등이 받는 고액 보수와 스톡옵션 행사 차익 등이 포함돼 있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(DJY@yna.co.kr)<br /><br />#연봉_1억 #연봉_2억 #대기업 #코로나_기저효과 #평균의_함정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