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이체방크 위기설 등 불안에 주식시장 소폭 하락 <br />크레디트스위스 인수 과정 코코본드 상각이 발단 <br />정부, 관리 강화…"코코본드 국내 영향 제한적"<br /><br /> <br />도이체방크 등 글로벌 은행 위기감이 이어지며 국내 주식시장이 소폭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당국은 은행의 입출금 동향을 살피는 등 변동성에 대비해 점검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강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독일 최대 은행인 도이체방크 위기설 등 유럽 은행 불안으로 국내 주식시장이 소폭 하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스피는 5.74포인트, 0.24% 내린 2,409.22에 장을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원-달러 환율은 다시 1,300원대로 올라섰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실리콘밸리뱅크와 유럽 크레디트스위스에 이어 도이체방크 발 은행권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든 영향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김석환 / 미래에셋증권 연구원 : 은행 같은 경우에는 경제 성장이나 산업의 마중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은행권의 스트레스가 높아지는 부분은 실제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면 될 것 같고….] <br /> <br />최근 스위스 UBS가 크레디트스위스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이른바 '코코본드'를 모두 상각 처리, 즉 휴짓조각으로 만든 게 발단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코코본드는 유사시 투자 원금이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상각될 수 있는 채권으로, 회사가 흔들릴 경우 투자자들은 큰 손실을 입게 됩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코코본드 비중이 높은 도이체방크 등 은행들로 경계심이 번진 겁니다. <br /> <br />[이인철 / 참조은경제연구소장 : 크레디트스위스에 이어 다음 타자는 도이치방크가 아니냐고 하면서 신용부도스와프라고 해서 부도날 경우를 대비해서 들어두는 보험 성격의 파생금융상품이 무려 2017년 이후 가장 높게 뛰었어요.] <br /> <br />글로벌 금융위기 우려가 커지면서 우리 정부는 관리 강화에 힘쓰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우선 국내 은행의 입출금 동향에는 현재까지 이상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코코본드 관련 후폭풍이 국내에 미칠 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은행권에서 발행된 코코본드 잔액은 31조 5천억 원으로, 비중도 작고 상각 조건도 달라 크레디트스위스와 같은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금융당국의 판단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시장 전반에 불안감이 커진 만큼 투자심리 위축과 변동성 확대는 당분간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강희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희경 (kangh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32718111150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