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세계적 금융권 부실 여파에 안전자산 금값 뛴다

2023-03-27 3 Dailymotion

세계적 금융권 부실 여파에 안전자산 금값 뛴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미국발 은행 파산 사태 여파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불안해지자 안전자산인 금값이 고공행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금융권 부실로 미국의 고강도 긴축 정책이 완화된다면 금값은 당분간 높게 유지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이은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대표적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값이 크게 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기 침체 우려에 최근 미국발 은행 파산 사태로 글로벌 금융 불안까지 겹친 탓입니다.<br /><br />국내에서 거래되는 금값은 사상 최고가를 찍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0일 기준 순금 한 돈 가격은 지난해 말과 비교해 13% 정도 오른 36만2000원까지 치솟았습니다.<br /><br />한국거래소 금 시장이 2014년 3월 개장한 이래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한 겁니다.<br /><br />통화 정책을 담당하는 세계 중앙은행들도 금 사 모으기에 가담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세계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량은 1,136톤(t)으로 55년 만에 최대치였습니다.<br /><br />금 수요가 급증하자 실물자산인 '골드 바'는 물론, 간접 투자 방식의 '골드뱅킹'도 주목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은행에서 운용하는 금 통장 계좌 잔액은 지난해 말과 비교해 올해 들어 108억원 늘었고, 계좌 수 역시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계좌 개설이 간편하고, 금을 0.01g까지 작은 단위로 거래할 수 있는 게 장점입니다.<br /><br />금융권 부실 사태가 길어지면서 미국의 긴축 기조가 예상보다 빠르게 완화될 경우, 달러값이 내리면서 금값은 당분간 더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경기 침체 우려가 여전히 상존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 침체기에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과를 보였던 금의 성과가 부각되면서 다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요."<br /><br />금융권 부실이 어디까지 퍼질지 예측이 어려운 요즘, 안전자산 선호 현상은 뚜렷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. (ask@yna.co.kr)<br /><br />#금값 #금융불안 #금거래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