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한일 정상회담이 끝나자마자 악재가 터졌습니다.<br /><br />내일 발표될 일본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강제 징용 표현에서 강제가 빠질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우리 정부도 강력 항의를 준비 중입니다.<br /><br />도쿄 김민지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일본 정부가 내년부터 사용하는 초등학교 교과서 검정 결과를 내일 발표합니다.<br /><br />한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, "전시 중 조선인이나 중국인이 강제로 끌려 왔다"고 설명된 부분에 수정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'강제'라는 단어 또는 강제성을 뜻하는 표현이 사라지거나 모호하게 서술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['어린이와교과서전국네트21' 관계자]<br />"강제적으로 연행은 아니지만 동원이라든가… 그다음 단어가 조금씩 바뀌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2년 전 '종군 위안부'에서 '종군'을 빼고, 강제징용 역시 '강제' 또는 '연행'을 삭제하기로 한 당시 스가 내각의 각의 결정 뒤 일본 정부는 강제징용 사실을 줄곧 부정해 왔습니다.<br /><br />[하야시 요시마사 / 일본 외상(지난 9일)]<br />"(각각의 징용에 대해) 어떤 것이든 강제 노동 조약상 강제 노동에는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강제 노동이라는 표현은 적절치 않습니다."<br /><br />우리 정부 고위 당국자는 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해 "중대한 변화가 있다면 문제 제기를 할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미래 지향적인 한일 관계 구축에 일본이 찬물을 끼얹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우리 정부는 주한일본대사관 관계자 초치 등 항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민지입니다.<br /><br />영상취재: 박용준<br />영상편집: 구혜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