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카오·네이버에 재난관리 의무…배터리 10초마다 점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해 10월 발생한 카카오 먹통 사태, 다들 기억하실 겁니다.<br /><br />앞으로는 카카오처럼 1,000만 명 넘게 사용하는 디지털 서비스는 재난관리 체계를 의무적으로 갖추고, 데이터센터에선 화재 방지를 위해 10초마다 배터리 상태를 살펴야합니다.<br /><br />서형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10월 판교 SK C&C 데이터 센터 화재로 전방위적 서비스 장애를 일으킨 카카오.<br /><br />주요 서비스 복구까지 127시간 넘게 걸려 이용자들이 큰 불편을 겪었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7월부터 일명 '카카오 먹통 방지법'의 시행에 들어갑니다.<br /><br />입법예고된 시행령엔 네이버, 카카오처럼 1,000만명 넘게 쓰는 인터넷 서비스업체에 재난 예방과 훈련, 대응, 복구계획을 마련해 정부의 주기적 점검을 받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.<br /><br />매출액 100억원 이상, 면적 2만2,500㎡ 또는 전력공급량 40㎿ 이상 대규모 데이터 센터도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 "사업자들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필요 최소한으로 한정한다는 것이 저희 기본원칙이고 아마 부가통신사업자는 7개 내외, 그다음에 데이터센터의 경우에도 10개 내외…."<br /><br />데이터센터 화재 예방도 강화됩니다.<br /><br />최대 10분까지 들쭉날쭉한 배터리 관측주기는 10초 이하로 줄이고, 배터리실내 다른 전기설비나 전력선 설치는 금지됩니다.<br /><br />화재에 대비한 전기 우회 공급망 설치는 필수가 되고,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폭주를 막기 위해 '자체 소화약제 내장 배터리'를 도입합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또 여러 법에 흩어진 재난관리 제도들을 '디지털서비스 안전법'으로 통합해, 운용을 효율화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한편 카카오는 다음달 14일까지로 소상공인 보상 신청 기간을 연장했는데, 서류 검토 등에 걸릴 시간을 고려하면 보상 마무리는 사고 발생 반 년을 넘길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형석입니다. (codealpha@yna.co.kr)<br /><br />#카카오먹통 #소상공인보상 #재발방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