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선 시대 교통로와 군사시설 등 상세한 지리정보를 적어놓은 희귀한 '대동여지도' 목판본이 일본에서 환수돼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문화재청은 오늘 오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최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을 통해 일본에서 국내로 들여온 갑자본 대동여지도를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지도는 목록 1첩과 지도 22첩 등 모두 23첩으로 구성된 전국 지도로, 펼칠 경우 가로 약 4m, 세로 약 6.7m 크기의 대형지도가 되고 병풍처럼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1864년 제작된 목판본을 색칠하고 지도 여백에 '대동여지도'의 저본, 즉 기초자료인 '동여도'의 교통로와 군사시설 등 지리정보를 적어넣은 것으로, 목판본 대동여지도의 한계를 보완한 첫 판본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최응천 문화재청장은 이 지도는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사례이고, 국내에 있는 기존 목판본 '대동여지도'와 구성 형식과 배치 방식 등에서 다른 특징을 지녀 환수 의미가 더욱 크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 대동여지도 판본과 달리 국경 인접 해안선의 군사시설 표기는 물론 '백두산정계비'와 군사시설 간 거리, 삼척부에서 울릉도까지 소요 날짜, 한양 도성의 궁궐 표시와 명칭 등 상세한 지리정보가 적혀 있습니다. <br /> <br />'대동여지도'는 목판에 새겨야 하는 한계로 많은 지명과 주기 내용 등이 생략된 데 비해 '동여도'는 당시 교통로와 군사시설 등 지리정보와 영토의 역사, 지도사용법 등이 적혀 있는데 이번 환수본엔 '동여도' 정보가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환수를 도운 김기혁 부산대 명예 교수는 "환수본의 몸은 대동여지도이지만 머리는 동여도"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리정보를 적은 글씨체가 고산자 김정호의 글씨는 아니고, 이 지도를 누가, 어떤 목적으로 제작했는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지난해 7월 일본의 고서점이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한 뒤 가치 검토와 현지 실사 등을 거쳐 복권기금으로 구매해 이달 17일 국내로 들여왔습니다. <br /> <br />문화재청은 이번에 환수한 대동여지도가 '동여도'의 주기 내용이 필사된 희귀한 판본이라는 점에서 조선의 지도 제작과 활용을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 시대 지리정보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교준 (kyoj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3033013045801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