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미국이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업체의 세부 요건을 발표했는데, 한국 배터리 업체들, 보조금 적용 대상이 됐습니다. <br> <br>다행이긴 하지만 중국산 광물 의존도를 낮춰야 하는 숙제는 여전합니다. <br> <br>박지혜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미국 정부는 지난해 8월 인플레이션감축법, IRA을 통해 북미에서 최종 조립된 전기차에 7500달러의 세액공제를 주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현지시간 어제 세부지침이 나왔는데, 한국 배터리업체들은 보조금 적용 대상이 됐습니다. <br><br>먼저 배터리 부품의 절반 이상을 북미에서 만들면 3750달러를 받을 수 있습니다. <br><br>이번 세부 지침에서 우리 기업들이 미국에서 생산하는 양극판과 음극판까지는 부품으로, 국내에서 생산하는 양극재와 음극재는 <br>소재로 분류됐습니다.<br><br>현재 공정을 유지해도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겁니다.<br> <br>또 핵심 광물을 미국과의 FTA 체결국에서 절반 이상 가공한 경우에도 보조금 3750달러를 주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국내 배터리업체들은 중국이나 인도네시아 등에서 광물을 들여와 우리나라에서 가공하는 만큼 보조금 대상이 됩니다. <br> <br>[박철완 / 서정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] <br>"(FTA 미체결국인) 인도네시아가 현재로서는 광물을 수급하는 가장 중요한 공급망이거든요.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가 IRA 측면에서 한 숨 돌리게 되겠죠." <br> <br>하지만 리튬과 흑연 등 주요 광물의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하는 숙제가 남았습니다. <br> <br>미국이 2025년부터 '외국 우려 법인'에서 공급받은 핵심 광물을 쓰지 못하게 했는데, 여기에 중국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한편 보조금 지급의 기본 요건인 '북미 내 최종 조립' 요건은 그대로 유지됐습니다. <br> <br>현대차는 내후년 조지아 공장을 완공한 뒤에야 보조금을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강승희 <br>영상편집 : 이혜리<br /><br /><br />박지혜 기자 sophia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