챗GPT에 ’독도’ 검색하니 "1905년 日 편입" 오기 <br />’독도’ 검색하면 ’독도 분쟁’ 자동 표출 <br />"독도 분쟁, 오늘날도 미해결"…日 입장 반영 <br />日 외무성 홈페이지 답변, 챗GPT에 실려<br /><br /> <br />대학생이나 직장인이 널리 사용하고 있는 챗GPT에도 독도 관련 엉터리 답변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영어로 물었을 때 독도가 분쟁지역이라는 일본 입장을 그대로 반영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장아영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챗GPT에 독도에 대해 알려달라고 했습니다. <br /> <br />1905년 정식으로 일본 영토로 편입됐고 독도에 대한 분쟁이 오늘날까지 미해결 상태로 남아있다는 일본 측 입장이 편향적으로 반영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독도에 대해 물었을 뿐인데, 채팅 기록이 남는 왼쪽 칸에는 자동으로 '독도 분쟁'이라는 단어가 뜹니다. <br /> <br />역사적, 지리적,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대한민국 영토이기에 분쟁 대상이 아니라는 우리와 달리, 일본은 계속 독도를 '시끄러운 지역'으로 만들기 위해 애써왔습니다. <br /> <br />챗GPT 답변의 근거는 어디일까. <br /> <br />일본 외무성 홈페이지에 실린 독도 관련 Q&A에 이런 내용이 그대로 실려있습니다. <br /> <br />"1905년 일본은 내각 결정을 통해 다케시마에 대한 주권을 재확인했다." <br /> <br />이 자료에 나온 주장을 질문으로 바꿔 더 상세하게 질문을 던져봤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 사회에서 영유권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답변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석주희 /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: 한국 입장은 사실에 오류가 있고요. 일본어로는 대부분 일본 입장을 반영했습니다. 그런데 쟁점이 되는 게 영어입니다. (독도 관련 정보 게재를) 한국어에서 머무는 게 아니라 일본어, 그리고 영어로도 계속해서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될 수 있도록 자료를 발신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해 보입니다.] <br /> <br />일본은 2023학년도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독도보다 훨씬 큰 섬이 제외된 지도에도 축적과 무관하게 독도 표시를 하는 등, 영유권 주장을 강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박한민 /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: 오키섬 서부 쪽에다가 아주 작은 점을 찍습니다. 그래서 독도까지 일본 영토라고 표기를 하는 그런 디자인…] <br /> <br />챗GPT가 학생 과제를 비롯해 일반인이 자유롭게 사용하는 도구인 만큼, 여러 나라에 독도에 대한 그릇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장아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장아영 (jay24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40205121933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