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75주년 제주 4·3 희생자 추념식이 오늘 오전 제주에서 봉행 됐습니다. <br /> <br />윤석열 대통령 대신 한덕수 국무총리가 참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3년 만에 사회적 거리 두기 없는 추념식 행사여서 유족과 도민 등 2만여 명이 참석했는데요. <br /> <br />제주 연결해 추념식 내용 알아봅니다. <br /> <br />모처럼 많은 유족과 도민들이 추념식장을 찾았는데, 추모 분위기는 어땠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말씀하신 것처럼 올해 추념식은 3년 만에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해제돼 많은 사람이 찾았습니다. <br /> <br />바람이 강하게 불어 쌀쌀한 날씨에도 그동안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참석하지 못한 고령의 유족과 생존 희생자 등 2만여 명이 추념식 자리를 채웠습니다. <br /> <br />제75주년 제주 4·3 희생자 추념식의 주제는 '제주 4·3 견뎌냈으니 75년, 딛고 섰노라'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추념식은 식전 행사와 본행사, 식후 행사인 문화제로 구성됐습니다. <br /> <br />추념식은 오전 10시에 울린 사이렌 소리에 맞춰 4·3 희생자를 기리는 묵념으로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개막 영상은 제주 4·3의 아픔이 75주년을 맞아 겨울을 지나 봄으로 가고 있다는 의미를 담아 동백꽃이 피는 이미지 등을 표현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당선인 신분으로 참석했던 윤석열 대통령은 올해는 일정상 불참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덕수 국무총리가 대신 참석해 추모사를 대독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4·3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, 생존 희생자들의 고통과 아픔을 잊지 않고 보듬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는 유난히도 제주 4·3을 왜곡하고 폄훼하는 일이 잦았습니다. <br /> <br />김창범 제주 4·3 희생자 유족회장은 제주 4·3은 진영의 역사가 아니라 인권유린에 관한 대한민국의 당당한 역사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, 이제는 4·3에 대한 이념적 공세에 종지부를 찍고 진정한 국민 대화합의 시대로 향해 가는 데 동참해 주시길 간곡히 부탁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유족 사연으로는 제주 4·3 사건으로 뒤틀린 가족 관계로 살아온 이삼문 씨의 사연이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 씨는 부모, 형제를 모두 잃고 이삼문이 아닌 박삼문으로 팔십 평생을 살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뒤틀린 가족관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4·3 유족의 숙원인데요. <br /> <br />다행히도 행정안전부가 지난 3월 제주 4·3 특별법 시행령을 개정해 뒤틀린 가족 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는 7월부터 가족 관계가 정리될 수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고재형 (jhko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40313045720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