어제 하루, 무려 30여 건이 넘는 산불이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에도 집계 이후 처음으로 산불 2단계가 내려졌는데요, <br /> <br />이례적인 동시다발 산불의 원인과 전망 분석해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기상·재난 전문 정혜윤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 발생한 산불이 무려 34건이라고 하는데, 무척 이례적인 일이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우선 올해 들어 가장 많았고요, <br /> <br />기록을 살펴봐도 상위권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역대 하루에 가장 많은 산불이 발생했던 해는 2002년 4월 5일, 식목일로 무려 63건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2위는 2000년 4월 5일의 50건이고 3위가 바로 어제, 34건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충남 홍성 산불은 지난달 경남 합천 산불에 이어 두 번째로 산불 대응 3단계가 발령됐는데, <br /> <br />피해 면적을 보면, 합천이 163ha였는데, 홍성은 1000ha가 넘은 것으로 보여 올해 가장 큰 산불이 됩니다. <br /> <br />서울 인왕산 산불은 어제 약 5시간 만에 주불이 진화됐지만, 서울 시내에서 산불 2단계가 발령됐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한복판의 산불 2단계는 제도가 도입된 이후 처음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런데 이렇게 산불이 동시다발로 많이 났던 이유가 뭔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선 건조한 날씨가 가장 큰 원인입니다. <br /> <br />전국에 건조주의보가 내려졌고, 충청과 전북 일부에는 건조경보가 발효 중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설상가상, 서쪽 지방으로 고온의 동풍이 가세했는데요, <br /> <br />동풍이 태백산맥을 넘으면서 고온 건조한 바람으로 바뀌어 서쪽 지역 기온을 크게 끌어올린 겁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태백산맥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는 기온이 25도 안팎까지 올랐고, 상대습도가 20% 이하로 떨어졌습니다. 여기에 초속 10m 이상의 돌풍까지 불면서 산불이 발생하기 좋은 기상 조건이 만들어진 겁니다. <br /> <br /> <br />어제 대형산불이 난 지역은 최근에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았다고 하던데, 맞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 강수 자료를 확인해 보니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1월 1일부터 4월 1일까지 지역별 강수량을 살펴봤는데요. <br /> <br />가장 산불이 심했던 충남 지방은 평년의 44%대에 머물면서 역대 세 번째로 강수량이 적은 상태고요, <br /> <br />그 밖에 충북 50.9% 수도권 64.6%로 어제 산불이 집중적으로 발생한 중서부 지방은 올해 강수량이 평년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서울은 최근 20일간 비가 전혀 내리지 않았고요, <br /> <br />1월 1일부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혜윤 (jh030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30403161649020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