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75주년 제주 4·3 희생자 추념식이 오늘(3일) 제주 4·3 평화공원에서 봉행 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국무총리가 대독한 윤석열 대통령 추념사를 통해 명예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유족회 회장은 4·3에 대한 이념 공세를 끝내고 국민 대화합 시대로 동참해 달라고 부탁했습니다. <br /> <br />고재형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오전 10시 정각, 제주 전역에 울린 사이렌 소리에 맞춰 참석자들은 4·3 희생자를 기리는 묵념을 합니다. <br /> <br />올해 4·3 추념식은 '제주 4·3 견뎌 냈으니 75년, 딛고 섰노라'라는 주제로 진행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당선인 신분으로 참석했던 윤석열 대통령은 이번엔 일정상 불참했습니다. <br /> <br />윤 대통령은 대신 참석한 한덕수 국무총리가 대독한 추모사에서 명예 회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한덕수 / 국무총리 : 정부는 4·3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, 생존 희생자들의 고통과 아픔을 잊지 않고 보듬어 나갈 것입니다.] <br /> <br />4·3은 김일성 지시에 의한 것이라는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의 발언을 비롯해 올해는 4·3을 왜곡하고 폄훼하는 일이 잦았습니다. <br /> <br />4·3 유족회 회장은 4·3은 진영의 역사가 아니라며 이제는 이념적 공세를 끝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창범 / 제주 4·3 희생자 유족회장 : 4·3에 대한 이념적 공세에 종지부를 찍고 진정한 국민 대화합의 시대로 향해 가는 데 동참해 주시길 간곡히 부탁합니다.] <br /> <br />유족 사연에는 4·3 당시 부모 형제를 모두 잃어 다른 성을 쓰며 살아야 했던 이삼문 씨의 사연이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유족들의 숙원인 가족 관계 불일치 문제 해결은 행안부가 시행령을 개정해 해결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함에 따라 오는 7월부터 가족 관계가 정리될 수 있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추념식에서는 식후 행사로 처음으로 국가 차원의 문화제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추념식에 참석한 생존 희생자와 유족들은 이제는 4·3이 이념적 굴레에서 벗어나 화해와 상생의 상징으로 자리 잡기를 기원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고재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고재형 (jhko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40315572634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