용산공원 내달 개방…야권·환경단체 "토양정화부터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대통령 집무실 인근의 용산공원 부지가 다음 달 10일 윤석열 대통령 취임 1주년에 맞춰 시민들에게 임시 개방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토양오염 정화없이 공원을 조성해서는 안 된다며 반발해온 야당 측에선 추가 개방을 막기 위한 관련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준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작년 6월 시범 개방됐던 대통령실 남측의 장군 숙소와 스포츠필드 등의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정부가 다음 달 초까지 이들 용산공원 부지를 시민들에게 임시개방키로 하고 정비 작업을 서두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공원 안에는 윤 대통령이 근무하는 집무실이 울타리 너머로 들여다보이는 이색카페도 설치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시범개방 과정에서 불거졌던 오염토의 인체 위해성 논란을 고려해 인조 잔디 포장이나 녹지조성 등의 방안도 추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번 임시개방과 함께 공원 부지를 둘러싼 토양오염 논란은 또 한 번 수면 위로 떠오를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특히 야당 측에선 오염된 토양에 대한 조사와 정화 조치를 강화하는 법률 개정안이 잇따라 발의됐습니다.<br /><br />더불어민주당 설훈 의원은 반환된 미군기지 부지를 시민에게 개방할 때에도 토양오염을 제거하도록 하는 법 개정안을 발의했고, 같은 당 이수진 의원도 토양오염이 우려될 경우, 정밀조사 및 토양정화 조치 명령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법안에 담았습니다.<br /><br /> "용산공원 부지는 다이옥신 등 발암물질로 심각하게 오염돼 수년간의 정화조치가 필요합니다…법안은 국민의 건강 피해가 우려되는 경우, 정밀조사와 정화조치가 반드시 이뤄지도록 하는 내용입니다. 용산공원 졸속개방에 제동을 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환경단체는 오염토의 인체 위해성 등을 평가한 정부의 최종 연구용역 결과를 공개할 것도 촉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구 용역은 사실상 마무리됐지만, 국토부는 결과 공개 여부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준삼입니다. (jslee@yna.co.kr)<br /><br />#용산공원 #대통령실 #임시개방 #토양오염 #정화조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