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출금리는 내렸지만…커져가는 연체율 경고음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기준금리 인상으로 잠시 치솟던 대출금리가 1년 전으로 뒷걸음질 쳤습니다.<br /><br />금리 인상 종료 기대에 따른 시장금리 하락과 금융당국의 금리 인하 압박이 겹친 탓인데요.<br /><br />문제는 다시 내린 금리에도 원리금을 제때 못 갚는 가계, 자영업자가 늘고 있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이은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1년 반에 걸쳐 기준금리는 인상을 거듭했지만, 대출 금리는 되레 1년 전으로 돌아왔습니다.<br /><br />3월 말 기준 은행 주택담보대출 혼합형 하단 금리는 한 달 전과 비교해 0.75%포인트나 내려 연 3%대 중반 수준이었습니다.<br /><br />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3%대를 기록한 것은 작년 2월 이후 약 1년여만입니다.<br /><br />미국 실리콘밸리 은행 사태로 통화 긴축이 끝물이란 기대감에 시장금리가 내린 데다 금융당국의 금리 인하 압박이 영향을 미친 겁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빚을 제때 갚지 못하는 사례는 되레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2월 기준 5대 은행의 가계 신규 연체율은 0.09%, 기업은 0.10%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상승이 시작된 작년 11월에 비해 가계는 거의 2배, 기업도 0.03%포인트나 뛴 겁니다.<br /><br />빚의 규모와 질도 문제입니다.<br /><br />3년 넘게 이어진 코로나 사태 탓에 자영업자 대출이 1,000조원을 넘어 최대 기록을 새로 썼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돈을 빌린 자영업자 과반은 대출이 3개 이상으로, 더 이상 돈을 빌리기 힘든 '한계 차주'였습니다.<br /><br />대출액 기준으로는 전체 자영업 대출 약 70%가 이런 다중 채무자가 빌린 돈으로 부실 위험이 큰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금리의 향방도 아직 알기 어렵습니다.<br /><br /> "(미국의 기준금리) 인상 가능성이 있는데…시장에서는 계속해서 더 못 올릴 거라고 하는데 조금 더 두고 봐야 할 이야기라고 봐요."<br /><br />하지만, 현실화하는 경기 둔화로 연체율이 상승 곡선을 그릴 가능성이 높다는 점은 분명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. (ask@yna.co.kr)<br /><br />#대출금리 #기준금리 #연체율 #주택담보대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