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풍에 산불이 확산하면서 대응 3단계가 내려졌던 지역에서는 긴급대피한 주민들이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,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은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이상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밤사이 주민 대피령이 내려졌던 충남 홍성의 한 마을입니다. <br /> <br />거센 바람에 산불이 확산하면서 주민들은 뜬눈으로 밤을 지새워야 했습니다. <br /> <br />[권영배 / 충남 홍성군 서부면 : 불이 엄청나게 금방 여기로 넘어올 것 같아서 나도 막 겁이 나더라고요. 내가 나이가 70살인데 처음 느꼈습니다.] <br /> <br />마음이 놓이지 않은 주민들은 낮에도 마을회관에 몸을 피한 채 산불이 꺼지기만을 기다렸습니다. <br /> <br />산불 저지에 성공하면서 다행히 큰 피해는 없었지만, 주민들은 놀란 가슴을 쓸어내려야 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완자 / 충남 홍성군 서부면 : 밥 퍼서 물 말았는데 먹으려고 두 번 먹으니까 이장이 전화 와서 큰일 난다고 어서어서 내려가라고…. 내려오다가 쳐다보니까 산 뒤로 불이 환하게 일렁일렁해서 깜짝 놀라고….] <br /> <br />산불 3단계가 발령됐던 전남 함평의 한 마을에서도 주민들이 집을 떠나 황급히 몸을 피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정동선 / 전남 함평군 덕천마을 이장 : 다 놀래서 주민들이 차를 타고 막 멀리 대피하는 상황이었죠. 대처할 수도 없었고….] <br /> <br />전국에서 사흘 동안 이어진 산불로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, 충남 홍성에서만 이재민 50명이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은 이곳 임시 대피소에서 언제 끝날지 모르는 텐트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피해 현장을 다시 찾은 주민들은 착잡한 마음을 감출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집은 폭격을 맞은 듯 폐허가 됐고, 내부에 있던 물건들은 성한 게 하나도 없습니다. <br /> <br />입고 있던 옷과 가방 하나밖에 챙겨오지 못한 터라 앞으로가 더 막막합니다. <br /> <br />[박영순 / 충남 홍성군 이재민 : 떨려 다리가…. 떨려서 힘이 하나도(없어.) 옷도 딸들이 3명이나 되니까 많아요. 그거 하나 건지지도 못하고 쌀도 건지지 못하고 돈도 2백(만 원) 탔어.] <br /> <br />반가운 단비와 함께 큰불이 잡힌 가운데, 이재민들은 하루빨리 피해복구가 시작되길 기원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상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상곤 (sklee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40421554003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