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시 차단·개발 중단 요구…생성형 AI 부작용 우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챗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인공지능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자, 개인정보 유출 등 부작용도 드러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자 해외에서는 규제 논의에도 속도를 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국내 흐름은 어떨까요.<br /><br />김민혜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달, 챗GPT를 만든 회사가 트위터에 알린 공지입니다.<br /><br />유료계정을 쓰는 회원 중 1.2%의 개인정보가 다른 회원들에게 노출됐으며, 현재는 해결했다는 내용입니다.<br /><br />세계 이용자가 1억 명을 넘을 정도로 챗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 AI는 기술업계의 화두지만, 이런 개인정보 유출은 물론, 어떤 위험이 있는지 예단하기조차 어렵다는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탈리아에선 개인정보 보호 우려 등을 이유로 챗GPT 접속을 잠정 차단했고 유럽 다른 나라에서도 규제 검토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한 비영리단체에선 AI 시스템 개발을 6개월간 중단하라고도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가 챗GPT를 통한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보안 지침을 강화하는 등 최근 기업들도 활용법을 고심하는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반면 국내에선 챗GPT 충격에, 기술 발전차원에서 규제보다는 '우선 허용'에 초점을 둔 인공지능법이 국회 통과를 앞두고 있는데, 자칫 오남용과 정보유출 같은 부작용이나 위험성을 거르지 못해 되레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단편적 경험만으로는 미래 예측에 한계가 있는 만큼, 보다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보다 먼저 AI에 대해 고민했던 EU 같은 경우도 챗GPT 등장 이후에는 오히려 이 기술이 어떤 반향을 일으킬지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에 더 논의를 해야된다는 식으로 지금 가고 있는 분위기거든요."<br /><br />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해당 법의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추가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. (makereal@yna.co.kr)<br /><br />#챗GPT #생성형_인공지능 #부작용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