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분교 하면 지방 시골에 있는 것으로 보통 생각하죠. <br><br>이제 서울에서도 분교를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유가 무엇인지 김단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이번 학기부터 폐교한 서울 화양초등학교입니다. <br> <br>전교생이 80여 명으로 줄면서 개교 40년 만에 문을 닫았습니다. <br> <br>화양초를 비롯해 서울에 있는 학교 네 곳이 학생들이 줄면서 문을 닫거나 통폐합됐습니다. <br><br>반대인 곳도 있습니다. <br> <br>영등포구 대방초등학교는 뉴타운 개발로 학생 수가 2년 새 두 배인 1300여 명으로 늘었습니다. <br> <br>학생들이 갑자기 늘면서 임시교실까지 운영 중입니다. <br> <br>[학부모] <br>"뉴타운이라서 그 이후로 과밀 됐거든요. 1, 2, 3학년은 10개, 11개 반으로 알고 있습니다. 많은 편이죠." <br> <br>한쪽에선 저출생과 인구유출로 폐교 위기를 맞고 다른 쪽에선 재개발 등으로 학생이 몰리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이런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서울에서도 분교가 추진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서울시교육청이 최근 TF팀을 가동해 이른바 서울형 분교 설립을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학생 수가 적은 지역은 분교로 통학거리 등 불편을 줄이고 학생 과밀지역에는 본교와 함께 분교를 운영해 교육의 질을 높이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[서울시교육청 관계자] <br>"강남처럼 과밀화된 지역이 나올 수도 있고 애들이 점점 줄어가는 학교가 나올 수도 있고 폐교하는 대신에 거기를 분교를 운영하는 등" <br> <br>하지만 현행법상 학교를 세우기 위해선 인근 가구 수, 운동장 넓이 등의 요건이 까다로워 법 개정이 뒤따라야 합니다. <br> <br>서울시교육청은 6개월 동안 연구검토를 거쳐 하반기 서울형 분교 모델을 발표하고 국회와 정부에 정식 건의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: 강철규 <br>영상편집: 이은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