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음 주 금융통화위원회 앞두고 환율 촉각 <br />’동결 유력’ 전망 속에 변동성 커질 경우 부담 <br />이창용 총재 "환율 특정 수준에 의미 안 둬"<br /><br /> <br />유가가 들썩이면서 환율이 덩달아 불안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또 동결할 가능성이 큰 가운데 막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김지선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외환시장에서 이틀 연속 하락 마감한 원-달러 환율. <br /> <br />지난 3일 주요 산유국의 감산 결정이 발표되자 15원 가까이 올랐는데, 다시 1,310원 선까지 내려온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장중 내내 불안한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3일엔 장중 연고점에 바짝 다가섰고, 사흘째까지 상승과 하락을 오가며 갈피를 잡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[\문정희 / KB국민은행 수석연구위원 : 아시아 시장 쪽에서의 시장 움직임, 거기에다 중국 위안화에 동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 변동성이 좀 크긴 하지만 그래도 주 초반 보였던 변동성보다는 조금 안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다음 주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둔 한국은행의 부담도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에 이어 이번에도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유력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환율이 크게 올라 수입물가가 뛰면 좀 잡히나 싶은 물가를 다시 자극할 수 있다는 게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기준금리 동결이 미국과의 금리 격차를 더욱 벌려놓으며 외국인 자금 유출의 불씨가 될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지난 2월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두고 환율이 심상치 않은 오름세를 보이자 한국은행은 여러 고려 요인 중 하나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지만, <br /> <br />[이창용 / 한국은행 총재(지난 2월 금융통화위원회) : 환율이 물가 경로에 주는 영향은 중요한 고려 사항 중의 하나입니다. 그러나 환율을 1,300원이든 1,400원이든 특정 수준에 의미를 두고 있지 않음을 말씀드리겠습니다.] <br /> <br />기준금리 동결 결정이 내려진 지 사흘 만에 25원 가까이 치솟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가뜩이나 주요 통화 대비 원화 약세가 두드러진 가운데 금통위를 전후로 또다시 환율이 출렁일 경우 외환 당국이 관리에 나설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지선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지선 (sun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40523214818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