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엔 "북, 러시아 도와 우크라 사이버 공격 정황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우방인 러시아를 도와 우크라이나를 사이버 공격한 정황이 드러나 유엔 전문가들이 조사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북한의 사이버 공격이 갈수록 정교해지고 있다며 새 정찰총국장 개인도 제재할 것을 권고했습니다.<br /><br />한미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가 공개한 전문가 패널 보고서는 북한에서 가장 위협적인 사이버 조직으로 정찰총국 산하 단체 김수키와 라자루스, 안다리엘을 명시했습니다.<br /><br />이 중 라자루스는 지난해 6월 우크라이나 정부 기관을 상대로 스파이 행위를 했다는 한 사이버 보안 회사의 보고에 따라 전문가 패널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 패널 보고서는 지난해 7월 말부터 올해 1월 말까지 안보리 대북 제재 이행 현황을 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미 알려진 핵실험 준비 상황이나 미사일 발사 사례 외에 북한의 사이버 공격 수법이 예년보다 자세히 기술된 것이 눈에 띕니다.<br /><br />기밀정보를 노린 사이버 공격의 타깃은 주로 군사와 에너지, 인프라 분야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악성 소프트웨어를 구매 주문서 등으로 위장해 군기지 보수업체나 원전 관련 회사에 보내거나 특정인을 겨냥한 피싱 공격으로 정보를 빼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지난해 역대 최대 규모인 1조원 안팎의 가상화폐를 훔친 것으로 추정되는데 여기에 앞장선 것도 라자루스였습니다.<br /><br />가상화폐 개발자들에게 미국 최대 거래소인 코인베이스 구인 광고로 위장한 파일을 보내는 수법으로 피싱 작전을 벌였습니다.<br /><br />가짜 가상화폐 앱을 만들어 이용자들을 등친 사례도 적발됐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정부는 라자루스의 가상화폐 세탁을 도운 기업을 제재 대상에 올렸고 그 과정에서 일부 도난된 가상화폐를 회수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 패널은 이미 제재대상에 올라있는 정찰총국 외에도 이들 해커 단체를 이끄는 리창호 국장을 개인 제재 대상으로 지정할 것을 권고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한미희입니다.<br /><br />#북한_해커 #라자루스 #대북제재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