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엔 인권결의안 채택에 북한 "정치적 음모"…정부는 "환영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유엔 인권 이사회가 북한 내 인권 개선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21년 연속 채택한 데 대해 남북이 상반된 입장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북측에서는 "정치적 음모"라는 주장이, 남측에서는 환영 입장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신현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003년을 시작으로 올해까지 21년 연속 채택된 유엔 북한인권결의안.<br /><br />올해는 북한 주민의 정보권 침해를 명확히 지적한 점이 눈에 띕니다.<br /><br />북한은 '정치적 음모'라며 즉각 반박한 데 이어.<br /><br /> "제출된 결의문은 진정한 인권 증진과 무관한 정치적 음모를 담은 문건입니다. 우리는 단호히 부인하고 거부합니다."<br /><br />결의안 채택 바로 다음 날 반박 담화문까지 냈습니다.<br /><br />정보권 침해, 자의적 구금과 처벌, 사생활 감시가 적시된 결의안은 "우리 사회에 존재할 수도 없는 허위와 날조로 일관된 협잡문서"라고 비난했습니다.<br /><br />결의안이 남측 등 외부에서 제작된 영상물을 엄격히 금지한 '반동사상문화배격법'을 비판한 데 대해선, "전체 인민의 총의에 따라 채택된 국법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것은 내정간섭이며 주권침해 행위"라고 반발했습니다.<br /><br />이어 "미국이야말로 국제사회의 심판을 받아야 할 최대의 인권유린국이며 인권 불모지"라고 날 선 반응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북한 내 인권 침해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며 결의안 채택 환영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 "북한이 이번 결의에 따라 인권 증진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유엔 인권 메커니즘과의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을 촉구합니다."<br /><br />올해 결의안은 한국을 비롯해 57개국이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했는데, 지난해에 이어 표결 없이 전원이 합의한 컨센서스 방식으로 채택됐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. (hyunspirit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