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양곡관리법에 대해 정부가 후속 대책을 발표했습니다. <br><br>남아도는 쌀 대신 밀이나 콩 재배를 유도하고, 빵으로 만들 수 있는 가루쌀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문이 열리자 거대한 성벽처럼 쌓인 800kg들이 쌀 포대가 보입니다. <br> <br>쌀 포대 하나 높이가 1m 정도인데요 6개씩 6m 높이로 창고에 꽉 들어 차있습니다.<br> <br>84㎡ 국민평형 아파트 6채 면적의 창고는 이미 포화상태. <br> <br>다른 곳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. <br> <br>정부가 사들인 쌀 재고량은 적정재고 수준을 넘어섰습니다. <br> <br>올해는 180만 톤으로 지난해의 2배에 달합니다.<br> <br>정부는 쌀이 남아돌지 않고 쌀 한 가마니, 80kg에 20만 원 수준을 유지하도록 재배면적을 줄입니다.<br><br>[정황근 / 농림축산식품부 장관]<br>"(쌀 대신) 밀·콩·가루쌀·사료를 논에 재배할 시 직불금을 지원하는 전략작물 직불제를 이미 지난달에 법제화해 금년부터 대대적으로 시행할 계획입니다." <br> <br>특히 빵으로 가공할 수도 있고 일반벼처럼 기를 수 있는 가루쌀의 재배면적을 여의도 33배 면적인 1만 헥타르까지 늘릴 계획입니다. <br> <br>이를 위해 농민 소득을 보조해주는 농업 직불금을 올해 2조 원대에서 2027년까지 5조 원으로 확대합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전 정부도 '쌀 이외의 전략작물 재배 지원 사업'을 벌였지만 실패했습니다. <br> <br>[서용석 / 후계농업경영인중앙회 사무총장] <br>"(쌀 농사는) 거의 100% 기계화가 돼 있기 때문에 인건비라든지 이런 것들을 적게 들어서 굳이 다른 정책(작물)으로 갈아탈 필요성 자체가 없어지는 거죠." <br> <br>관건은 정부가 벼보다 손이 많이 가는 전략 작물로 농민이 돌아설 수 있을 정도의 인센티브를 제시할 수 있느냐에 달렸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안건우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: 정승호 한효준 <br>영상편집: 최동훈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