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우리 일상 속으로 마약이 파고 들고 있습니다. <br> <br>최근 매일 마약 사건 소식 전해드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여중생이 마약한 걸 엄마가 신고하기도 하고, 강남 학원가에서 아이들에게 마약이 건네지고 도로엔 환각 상태로 질주하는 일들이 버젓이 일어나고 있죠. <br> <br>뿌리뽑지 못하면 특히 우리 아이들이 위험한 상황, 윤석열 대통령도 “마약과의 전쟁”에서 승리하라며 수사 역량 총동원을 지시했습니다. <br> <br>오늘 집중 보도해드립니다. <br> <br>첫 소식 김지윤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마약류 4종 투약 혐의를 받는 배우 유아인 씨.<br><br>[유아인 / 배우(지난달 28일)] <br>"잘못된 늪에 빠져있었던 것 같습니다." <br> <br>재벌 3세는 마약을 투약한 것도 모자라 주변에 판매하다 적발돼 징역을 살게 됐습니다.<br><br>하지만, 마약은 더 이상 돈 많은 사람들의 얘기가 아닙니다. <br> <br>지난해 경찰이 검거한 마약사범은 1만 2387명. <br> <br>역대 최다였습니다. <br> <br>올 들어 3월까지 경찰이 붙잡은 마약사범은 2217명.<br><br>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.3%나 늘었습니다.<br><br>청소년도 마약 안전지대가 아닙니다. <br><br>지난해 10대 마약 사범은 294명으로 5년 전(104명)에 비해 약 3배 수준입니다. <br><br>지난달 서울에선 한 중학생이 호기심에 SNS로 필로폰을 구입해 집에서 투약했다 쓰러졌습니다. <br> <br>급기야 대치동 학원가에선학생들에게 마약 음료를 권한 뒤 부모로부터 돈을 뜯어내려는 사건까지 벌어졌습니다. <br> <br>결국 윤석열 대통령이 총력 수사를 주문했습니다. <br> <br>[김은혜 / 대통령 홍보수석비서관] <br>"검경은 수사 역량을 총동원해 마약의 생산·유통·판매 조직을 뿌리 뽑고 범죄 수익을 끝까지 추적해 환수하라고 지시했습니다." <br> <br>취임 후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한 윤 대통령은 강력한 단속 필요성을 강조해 왔습니다. <br> <br>[국정과제점검회의(지난해 12월)] <br>"국가의 단속이 강해지면 거기에 대한 위험부담료가 붙는 건데요. 마약값이 떨어진다는 얘기는 국가가 단속을 안 했다는 얘기입니다." <br> <br>대통령의 지시로 검찰과 경찰도 마약 수사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지윤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br /><br /><br />김지윤 기자 bond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