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최근 집에서 필로폰을 투약한 중학생을 부모가 신고한 사건이 있었죠.<br><br> 이렇게 마약은 이미 청소년들 사이에 빠르게 퍼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 마약을 배달하다 붙잡히는 10대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박건영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여행용 캐리어에 비닐로 포장된 케타민과 액상대마가 한가득 담겨있습니다. <br> <br>조금씩 나눠서 팔 수 있도록 비닐에 소분까지 돼 있습니다. <br> <br>텔레그램으로 마약을 사겠다는 연락이 오면, 약속된 장소에 마약을 가져다 놓는 이른바 '드랍퍼'들이 모여있던 곳입니다. <br><br>붙잡힌 이들 중엔 10대 4명도 포함돼 있었습니다. <br> <br>17세에서 19세 청소년들로, 인천의 오피스텔에 함께 살며 마약 투약도 하고 배달 심부름도 한 겁니다. <br> <br>이들 일당은 외국에서 마약을 택배로 받아 밀수한 뒤, 서울 강남구에 있는 원룸 두 곳을 창고 삼아, 마약을 대량으로 보관했습니다. <br> <br>SNS로 마약 구매 요청이 오면, '드랍퍼'들이 배달하는 방식으로 조직적 범행이 이뤄졌습니다. <br><br>두 달 간 이들이 판매한 마약만 16억 원 상당.<br> <br>얼마 전만 해도 마약은 어른들의 전유물이었지만 이제는 소비뿐 아니라 유통 판매까지 10대 청소년이 전면에 심심치 않게 등장합니다. <br> <br>실제로 10대 마약사범은 2018년에는 140여 명이었지만 지난해에는 481명으로 3배 넘게 급증했습니다.<br> <br>최근 마약 투약으로 검찰에 송치된 사건 중에는 14살 구매자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더 이상 마약 청정지대도, 청소년 안전지대도 아니라며 지금이라도 바로 잡아야 한다고 강조합니다. <br> <br>[한동훈 / 법무부 장관] <br>"미국처럼 애들 학교 갈 때 '너 마약 하지 마라' 이런 얘기가 상용화될 거예요. '악'소리 나올 정도로 강력하게 단속해야 한다." <br> <br>검찰은 SNS와 가상화폐를 이용한 마약류 밀수와 유통이 10대, 20대를 중심으로 급격히 확산되고 있어 집중 단속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건영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한일웅 <br>영상편집 : 최창규<br /><br /><br />박건영 기자 chang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