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과 프랑스 정상이 우크라이나 문제의 정치적 해법에 공감하며 거리를 좁혀가자 러시아가 경계심을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서방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며 경제 제재에 맞서 원유 감산 규모를 키우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국제부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봅니다. 이경아 기자! <br /> <br />어제 시진핑 주석이 마크롱 대통령을 공항까지 나가 직접 배웅해 화제가 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러시아 정부가 두 정상의 회담에 대해 입장을 밝혔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크렘린궁 드미트리 페스코프 대변인은 러시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과 프랑스의 이번 정상회담 내용을 면밀히 살펴봤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중국과의 연대를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페스코프 대변인은 "중국과 다양한 분야에서 깊이 있게 교류해 왔다"며 "러시아는 중국과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"중국은 대단한 강국"이며 "외부 영향에 그렇게 빨리 바뀌지 않을 것"이라고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과 프랑스 정상은 우크라이나 문제를 평화적으로 풀기 위한 정치적 해법을 찾자는데 의견을 같이했습니다. <br /> <br />시 주석은 마크롱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경제 협력을 포함해 이례적인 환대를 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뿐 아니라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도 중국을 방문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평화협상을 중재하겠다고 나선 중국이 그 해법을 놓고 서방 입장에 가까워지는 상황은 피하고 싶은 러시아의 속내가 이번 발언에 담긴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러시아가 서방의 경제 제재 속에 예상보다 큰 규모로 원유를 감산한 것으로 나타났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러시아의 원유 감산 규모가 당초 계획보다 40% 더 많았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러시아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 에너지부 미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달 하루 약 940만 배럴이 생산돼 70만 배럴 줄었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규모는 러시아가 이전에 밝힌 감산 목표 50만 배럴보다 40% 더 늘어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앞서 러시아는 미국이 주도하는 서방의 제재가 이어지자 보복 조치의 하나로 올 연말까지 원유 감산을 시행한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석유수출국기구, OPEC과 비 OPEC 산유국은 하루 110만 배럴 원유 생산을 줄이기로 했는데요. <br /> <br />여기에 더해 러시아가 감산 폭을 늘리면서 국제 유가 급등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한편 앙카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경아 (ka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40810061155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