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 도·감청 파장 확산…스노든 폭로 이후에도 반복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온라인상에 유포된 미국의 기밀문건에는 한국뿐 아니라 다른 동맹국에 대한 도감청 정보도 담겼습니다.<br /><br />재발 방지 약속에도 동맹국을 상대로 한 미국의 도감청은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온라인에 유포된 미 국방부와 정보당국 기밀문서에 등장하는 미국의 우방은 한국뿐만이 아닙니다.<br /><br />주요 동맹국인 이스라엘, 영국 등에 대해서 도·감청으로 정보를 파악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이스라엘에 대해선, 첩보기관 모사드의 고위 지도자들이 이스라엘 정부의 사법 개혁에 반대하는 시민들을 옹호하고 일부는 정부를 비난하는 행동을 노골적으로 요구했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.<br /><br />외신은 미국이 중동에서 가장 가까운 동맹국에 대한 스파이 활동을 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외교 관계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유출된 문건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최신 전황도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미국이 러시아군의 공격 시기와 목표물까지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등 러시아 내부 정보망에 깊숙이 침투한 것으로 보이는 정황도 담겼습니다.<br /><br />이런 정보를 미국이 전달해준 덕에 우크라이나가 중요 전기마다 방어 태세를 충분히 갖춘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입니다.<br /><br />미 국방부와 법무부가 진상 조사에 착수한 가운데 문건이 일부 조작, 변형됐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, 상당수는는 진짜로 보인다는 미국 정부 관계자들의 평가가 외신을 통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동맹국 인사에 대한 미국의 도감청 사실이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.<br /><br />불과 2년 전에도 미 국가안보국이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독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를 비롯한 유럽 동맹국 정치인과 정부 고위관계자를 감청한 사실이 스웨덴 공영방송 보도를 통해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 "유럽과 미국을 하나로 묶는 신뢰를 가지고 있습니다. 우리는 공동의 안전을 위해 할 일이 많습니다. 동맹국 사이에 의심을 품을 공간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."<br /><br />2013년 에드워드 스노든의 무차별 도감청 폭로 이후, 버락 오바마 당시 대통령이 직접 나서 동맹국 정상을 상대로 한 도감청 중단을 약속했지만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#미국_도감청 #문건유출 #스노든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