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판다 외교. 우호의 상징으로 삼아 판다를 각국에 선물로 보내는 중국 외교의 상징이죠.<br> <br>20년 전엔 미국에도 판다를 보냈습니다.<br> <br>그런데 핼쑥해진 판다의 모습에 중국 여론이 들끓고 있습니다.<br> <br>판다의 고향인 쓰촨성에서 공태현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 대나무를 손에 쥔 판다를 향해 관광객들이 환호하며 사진을 찍습니다. <br><br>[현장음] <br>"이리와서 빨리봐. 판다가 움직이고 있어."<br><br> 판다 200여 마리가 사육되는 쓰촨성 청두의 판다연구기지는 유명 관광지입니다. <br> <br>중국인들에게 판다는 동물 이상의 존재가 된지 오랩니다. <br><br>이곳엔 판다 사육사가 80여명 가까이 되는데요. <br> <br>이렇게 판다 보호와 번식 사업을 하는 연구 기지는 쓰촨성에만 5곳이 있습니다.<br><br> 20년 전 우호 상징으로 미국으로 보내진 수컷 판다 러러와 암컷 야야의 최근 모습입니다. <br> <br>한눈에 봐도 핼쑥한 상태라 중국에선 학대 의혹이 제기됐습니다. <br> <br> 이 와중에 러러가 올해 2월 세상을 떠나자 중국 전문가들이 급파돼 공동부검에 참여했고 혼자 남은 야야는 곧 중국으로 돌아옵니다. <br><br>[러러 추모 중국인] <br>"러러는 이미 없으니 야야가 하루빨리 귀국하기를 바랍니다."<br><br> 중국 외교부는 미국에서 송별식을 마친 야야의 소식을 전하며 피부병에 걸린 것을 제외하곤 상태가 비교적 좋다고 밝혔습니다.<br> <br>[왕원빈 / 중국 외교부 대변인(어제)] <br>"야야에 대한 허가증 발급 후 가능한 한 빨리 안전하게 중국으로 데려올 것입니다." <br> <br> 중국 누리꾼들은 러러의 죽음에 대해 미국의 보상을 요구하며 비난했고 일부는 판다 외교를 철회하라며 판다를 즉각 돌려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<br> <br> 한 쌍에 13억 원의 임대료를 받으며 중국의 외교 사절로 활동하고 있는 판다. <br><br> 미중 관계 대립 속에 판다의 건강까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쓰촨성 청두에서 채널A뉴스 공태현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위진량(VJ) <br>영상편집 : 강민<br /><br /><br />공태현 기자 ball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