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어제 강릉을 덮친 산불은 태풍 같은 강풍에 빠르게 할퀴고 지나갔습니다.<br> <br>그러나 화마가 남긴 상처는 깊고 넓었습니다.<br> <br>이재민들은 집에 돌아갈 엄두가 나지 않을 만큼 끔찍하다며 가슴 아파했습니다.<br> <br>이혜주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중장비가 건물 잔해를 헤치자 희뿌연 연기가 피어오릅니다. <br> <br>소방관이 물을 뿌려 남은 불씨를 끕니다. <br> <br>큰 불이 잡혔지만 어제 밤부터 오늘까지 재발화 의심 신고가 1백 건 넘게 쏟아졌습니다. <br> <br>군인들까지 잔불 정리와 뒷불 감시에 힘을 보탰습니다. <br> <br>산불 소식을 듣고 달려온 할머니는 조상을 모신 선산이 모두 탄 걸 보고 말을 잃었습니다. <br><br>[최길자 / 산불 피해 주민] <br>"부모 모셔놨던 산들. 가슴이 아파 너무 힘들어. 밤에 잘 수가 없어.너무 우울증이 와가지고." <br> <br>시간이 지나면서 산불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고 있습니다. <br><br>주택 69채와 펜션 28동 등 건물 120여 채가 소실됐고 축구장 530개 면적과 맞먹는 379헥타르의 산림이 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. <br> <br>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 3백여 명은 이틀째 대피소에 머물고 있습니다. <br> <br>구호물품과 성금이 전달되고 있지만 언제까지 이렇게 살아야 할지 앞날이 캄캄합니다. <br> <br>[임호철 / 산불 피해 주민] <br>"잠을 잘 수 있나요. (집) 가보면 아직 너무 끔찍해서. 거기 가면 눈물샘이 터져가지고 갈 수가 없어." <br> <br>[임만택 / 산불 피해 주민] <br>"나라에서 대책 세워주든지 해야지. 전쟁보다 더 무서운 거예요"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은 산불이 난 강릉시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습니다. <br> <br>국비 지원과 함께 피해 주민에게 세금 납부 유예 등 간접지원이 이뤄집니다. <br> <br>산불 원인에 대한 조사도 본격화 됐습니다. <br> <br>경찰 감식요원들은 최초 발화 지점으로 지목된 전신주 일대에서 정밀 감식을 벌였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혜주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장명석 <br>영상편집 변은민<br /><br /><br />이혜주 기자 plz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