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년 총선에 적용할 선거제도 개편을 논의하기 위한 국회 전원위원회가 나흘에 걸친 일정을 모두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의원 정수 축소와 비례대표제 확대 여부를 정당마다, 의원마다 백가쟁명식의 여러 의견을 쏟아냈지만, 선거를 어떻게 치르게 될지는 여전히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황윤태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회의원들이 전부 참석해 토론하는 전원위원회가 소집된 것은 이라크 파병 연장을 논의했던 지난 2003년 이후 20년 만입니다. <br /> <br />내년 총선을 어떤 규칙으로 치를지, 현행 선거제도로는 안된다는 데 공감하면서도 저마다 생각은 달랐습니다. <br /> <br />첫날부터 현행 3백 석인 의원정수, 그리고 비례대표 비율을 놓고 격론이 오갔습니다. <br /> <br />[이헌승 / 국민의힘 의원(지난 10일) : 국민의 뜻을 받들어서 먼저 국회의원 정수는 현행 300명 동결 내지는 축소되어야 하며….] <br /> <br />[고용진 / 더불어민주당 의원(지난 11일) : 비례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역구를 줄이거나 아니면 국회의원 정수를 늘려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선거구제를 놓고도 여야 입장 차이가 확연했습니다. <br /> <br />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선거구제에서 여러 명을 뽑는 중대선거구제에 대한 찬성 의견이 나왔지만, <br /> <br />[최인호 / 더불어민주당 의원(지난 11일) : 7대 특별시 광역시에 중대선거구제를 진지하게 검토해볼 만 하다고 판단합니다.] <br /> <br />[김종민 / 더불어민주당 의원(지난 11일) : 우선 서울과 6대 광역시만이라도 대선거구로 해 보자고 제안합니다.] <br /> <br />여당에선 지역소멸 우려 등을 들어 특히 농·어촌이라도 소선거구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발언이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[이양수 / 국민의힘 의원(지난 11일) : 가파른 인구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산어촌의 경우에는 지역 대표성 확보를 위해 1인 선거구 유지가 필요합니다.] <br /> <br />[김용판 / 국민의힘 의원(지난 11일) : 소선거구제의 강점이 훨씬 크기 때문에 전국 모두 현행 소선거구제 유지가 필요하며 그 방향이 맞는다고 믿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마지막 날엔 지난 총선 정치 양극화 원인이 된 위성정당을 불러온 '준연동형 비례대표제'에 대한 반성도 잇따랐고, <br /> <br />[이원욱 / 더불어민주당 의원 : 당시 원내수석부대표로서 큰 책임을 져야 할 사람입니다. 국민 여러분께 사과드리겠습니다.] <br /> <br />나흘간 토론으로 선거제를 논의하는 것이 실효성 있겠느냐는 지적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이철규 / 국민의힘 의원 : 합치된 의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황윤태 (hwangyt264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41323281903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