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동주, 낙차 큰 커브…입단 후 체인지업도 익혀 <br />안우진, 위력적인 슬라이더…’스위퍼’ 연마 중 <br />강속구 투수의 등장은 ’거포 탄생’ 출발점<br /><br /> <br />야구를 보는 가장 큰 재미 가운데 하나가 바로 불꽃처럼 포수 미트에 꽂히는 강속구 투구인데요. <br /> <br />시즌 초반 국내 투수들이 시속 160km를 넘나드는 공으로 야구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상익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타자를 꼼짝 못 하게 만든 문동주의 시속 160km 강속구입니다. <br /> <br />문동주는 온 가족이 경기장 응원에 나선 날 국내 선수 최초로 160km를 넘긴 의미 있는 기록을 세웠습니다. <br /> <br />[문동주 / 한화 투수 : 160km가 제 인생의 목표긴 했는데 그 목표를 이룬 것 같아서 뿌듯하고 구속에 대한 욕심은 이제 더 이상 내지 않는 것도 맞는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바로 다음 날 이번엔 현역 원조 파이어볼러로 키움의 안우진이 강속구 경쟁에 가세했습니다. <br /> <br />자신의 최고 구속에는 0.2km가 부족했지만 KBO 공식 기록 158.2km를 찍으면서 높게만 보였던 160km 벽에 근접됐습니다. <br /> <br />WBC에서 160km를 쉽게 던지던 일본 투수들을 부러워했던 야구팬들이 시즌 초반 벌어지는 젊은 선수들의 강속구 경쟁에 매료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안우진 / 키움 투수 : 강하게 던지려고 하지 않았고 정확한 게 우선이기 때문에 좀 더 정확하게 했기 때문에 점수를 안 준 것 같고, 다음에 여유 있을 때 강하게도 한 번 열심히 던져보겠습니다.] <br /> <br />강속구가 유효하려면 제구력과 변화구가 필요한데 문동주는 수준급 커브와 체인지업이 무르익고 있고, 일반 투수 직구 구속의 위력적인 슬라이더를 비롯해 다양한 변화구를 갖고 있는 안우진은 오타니의 변형 슬라이더 스위퍼까지 연마 중입니다. <br /> <br />이들 강속구 투수들의 등장이 반가운 건 눈높이를 맞출 수 있는 타자들 탄생에도 도움이 돼 변방으로 밀려난 한국 야구의 수준을 끌어올리는 출발선이 된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[이동현 / 해설위원 (전 LG 투수, 통산 53승) : 일반적으로 강한 파이어볼러라고 하면 어깨나 팔꿈치 부상이 상당히 염려된다는 얘기를 하는데 사실 지금까지 안우진, 문동주 선수 던지는 걸 보면 부상 위험성이 크게 없어요. 투구폼이 무리가 없고 상당히 깔끔하고 유연성도 상당히 좋고…] <br /> <br />야구 보는 재미를 더해주는 둘의 맞대결 빅매치는 빠르면 5월 말 또는 6월 중순쯤 성사될 가능성이 점쳐집니다. <br /> <br />YTN 김상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상익 (si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7_2023041417254530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