러시아, 美 미사일 방어망 맞서 2007년부터 개발 <br />中 ’둥펑-41’ 2012년∼2019년 11차례 시험 발사 <br />주한미군 사드 등 美 요격망 돌파 능력 과시 <br />"美 포위 뚫자" 공감대…북중러 판박이 ICBM 개발<br /><br /> <br />북한이 처음 시험 발사에 성공한 고체연료 ICBM 화성-18형은 러시아의 토폴-M이 원형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둥펑-41과도 판박이인데, 이런 무기를 개발하고 과시에 나선 배경도 닮았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사일이 원통형 발사관에서 튀어 오른 뒤에 불을 뿜습니다. <br /> <br />토폴-M을 개량한 러시아의 고체연료 ICBM인데, 북한의 화성-18 콜드론치 장면과 똑같습니다. <br /> <br />유럽에 배치한 미국의 미사일 방어망을 뚫기 위해 러시아가 2007년부터 개발한 무기입니다. <br /> <br />고체연료 미사일의 특성상 기습 발사를 할 수 있고, 핵탄두도 10기나 탑재해 요격이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고전하는 러시아가 고비 때마다 꺼내 든 핵 협박 카드 중 하나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[케르카예프 유진 / 러시아군 미사일 연대장 (지난달 29일) : 전략군의 지휘 아래 미사이을 전진 배치하는 중입니다.] <br /> <br />중국엔 둥펑-41이라고 이름 붙인 판박이 ICBM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2012년부터 2019년까지 모두 11차례 시험 발사를 거쳐 실전 능력을 입증했습니다. <br /> <br />역시 한반도 사드 배치 등 미국에 포위 당하고 있다는 위기감 속에 내놓은 군사적 대답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·러시아가 쌍둥이 ICBM을 쏘아 올린 북한을 두둔하는 배경입니다. <br /> <br />[왕원빈 / 중국 외교부 : 앞서 미국이 한반도 주변에서 벌인 대규모 군사 훈련과 전략 무기 출격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아는 사람은 다 압니다.] <br /> <br />앞서 중국과 러시아의 고체 연료 ICBM 개발 사례에 비춰볼 때 이제 막 첫 단추를 끼운 북한, 그 전략적 목표가 무엇인지도 엿보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41422291447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